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이 부채를 줄이기 위해 추진하겠다고 밝힌 사옥 등 부동산 매각의 성패는 결국 침체된 부동산경기 회복 여부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비롯해 코레일과 한국도로공사 등이 계획하고 있는 매각 물건이 대부분 수천억원대에 달해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될 경우 사실상 매각이 어렵기 때문이다. 더구나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수도권 공공기관의 사옥 매물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이처럼 한꺼번에 매물이 추가로 쏟아질 경우 매각 작업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진단이다.
[관련기사]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 부채감축 매월 점검”
■매물 넘치는데 또 '홍수'
3일 국토부 산하 주요 공공기관에 따르면 LH는 부채감축안에 감정가가 약 2800억원에 이르는 경기 성남 정자동 사옥과 3500억원에 달하는 분당 오리 사옥 매각을 추진하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코레일 역시 3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는 용산부지 반환 소송을 거쳐 오는 2017년부터 단계적으로 부지 매각작업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도로공사도 본사 이전 후 성남에 있는 본사 부지를 매각해 약 3000억원을 조달하겠다는 내용을 부동산 매각 계획에 포함시켰다. 도공은 본사 사옥부지가 고급주택지로 개발될 수 있는만큼 수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수자원공사는 전국에 산재한 지역 사옥을 매각 후 재임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들 공공기관은 부동산 경기 추이를 면밀히 분석하면서 수의계약, 경쟁입찰 등 모든 방식을 동원해 보유자산을 제값에 파는데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매각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부동산 경기가 여전히 냉각돼 있는 상황에서 수천억원대에 이르는 자금을 마련할 매수주체를 찾는 게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LH의 경우 이번 자구계획에 포함시킨 성남 정자와 오리사옥 매각을 진작부터 추진중이지만 수차례 유찰 등 매각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LH는 자산재평가를 통해 정자와 오리사옥 감정평가액을 낮췄지만 뚜렷한 매수주체를 찾지 못하고 있다.
■외국계에 팔았다가 비싼값에 재매입?
부동산 시장에서는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사옥물건이 이미 시장에 넘쳐나고 있고 이번에 공공기관이 팔겠다고 내놓은 물건의 매각액이 크거나 활용도가 낮은 부동산도 꽤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고 지적한다. 실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 의원실에 따르면 지방으로 이전하는 정부 산하기관의 종전 부동산 가운데 3회 이상 입찰이 유찰된 곳은 21개 기관이나 될 정도로 공공기관 사옥 매각 시장이 침체돼 있다.
더구나 수천억원이라는 공공기관 부동산 매입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매수주체가 외국계 자본이나 대기업 등으로 한정될 수 밖에 없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우리투자증권 김규정 부동산팀장은 "공공기관 부동산을 외국자본 등에 헐값에 팔았다가 나중에 비싸게 되살 수도 있다"며 "공공기관 부동산은 크게 보면 나라의 자산인 만큼 정부가 매각 가이드라인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토부 산하 한 공공기관 노조 관계자도 "부채를 줄이겠다고 사옥까지 내놨는데 이렇게 해서도 시장 상황 때문에 매각되지 않으면 정부가 압박만 하지 말고 재정 투입 등 공공기관 숨통을 열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ck7024@fnnews.com 홍창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