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2013년 재난사고 사망자, 전년 대비 476명 감소

박근혜정부 출범 첫해인 2013년 한 해 동안 교통사고·산업재해·해양사고 등 피해규모가 큰 8대 분야 사망자는 총 6757명으로 2012년 7233명과 비교해 476명(△6.5%)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행정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3년 안전정책 주요 성과를 발표했다.

분야별로는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2012년 5392명에서 지난해 5080명으로 312명 감소했으며 산업재해·해양사고?수난 등으로 인한 사망자도 각각 66명, 73명, 47명 감소했다.

다만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지난해 화재발생 건수가 4만932건으로 전년 4만3239건 보다 감소했음에도 다소 증가해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지난해 초 공표한 4대 사회악 관리지표의 추진실적도 성폭력 등 모든 분야에서 전년년 보다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성폭력 분야는 지난해 미검률이 11.1%로 전년도 15.5%보다 4.4%포인트 감소했고 재범률도 6.4%로 2012년의 7.9%보다 1.5%포인트 감소했다.

가정폭력 분야는 재범률이 11.8%로 전년 32.2%보다 20%포인트이상 감소했으며 학교폭력 분야와 식품안전 분야도 크게 개선된 실적을 보였다.


정부는 지난해 실적으로 바탕으로 각 분야별로 목표를 설정해 올해에도 4대 사회악 근절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안행부는 지난해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부처 명칭까지 바꾸며 명실상부한 국민안전 컨트롤타워로서 국민안전 정책의 총괄·조정 기능을 수행해 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5월 '국민안전종합대책'을 수립해 선제적·예방적·근원적 안전관리 대책의 기틀을 수립한 바 있다.ktitk@fnnews.com 김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