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섬유 산업의 사용자 단체와 노동조합이 외국인 인력 확대를 요구하고 나섰다.
사용자 단체뿐 아니라 노동조합 역시 한목소리를 낸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그만큼 국내 섬유업계의 인력난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방증이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섬유유통노동조합연맹, 이완영 국회의원실과 공동으로 4일 여의도 국회 소회실에서 '제조업 인력난 이대로 갈 것인가?'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특히 이날 포럼 참가자들은 제조업의 인력난이 심각하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정문주 한국노총 정책본부 본부장은 "섬유산업의 전체 인력 부족률은 10%대로 약 3만명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의 외국인근로자 신규 도입 규모는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고 섬유산업계는 지적했다.
올해 고용노동부는외국인근로자 신규 도입규모를 4만7700명으로 결정했다. 그중 제조업에 3만6950명을 책정했으나 이는 지난해보다 650명 축소된 인원이다. 섬산련 관계자는 "외국인력 도입쿼터는 2009년 이후 내국인의 고용확대를 명분으로 도입 규모를 대폭 축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 참석자들은 크게 외국인력 공급 확대, 고용규모별 외국인력 고용허용인원 확대, 노동생산성 대비 최저임금 차등적용을 정부에 건의했다.
김우갑 전국 섬유·유통노련 사무처장은 "인력부족이 심각한 섬유패션산업을 비롯한 제조업 전체의 외국인력 도입 규모를 최소한'2008년도 수준(8만명)을 초과해 공급해야 한다"며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내국인 고용이 어려워 외국인력이 필요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고용규모별로 외국인 고용허용 한도를 제한하고 있어 중소기업 인력난 해결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타 업종 대비 고용규모가 작은 섬유패션업종에 한해 외국인 고용 허용인원을 50인 미만 기업의 경우 내국인과 외국인의 비율을 1대 1까지 확대해줄 것을 요청했다.
노희찬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역시 "현재 외국인 근로자는 언어, 설비조작 미숙으로 생산능력이 내국인의 70%에 불과하지만 내국인과 동등하게 최저임금수준을 보장하고 있다"며 "내국인에 비해 기술수준이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 노동생산성별로 최저임금 70% 이내에서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