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군산 ‘공룡발자국 화석지’ 국가문화재 지정 추진

군산 ‘공룡발자국 화석지’ 국가문화재 지정 추진


군산 ‘공룡발자국 화석지’ 국가문화재 지정 추진


전북 군산시 산북동 일원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이 추진된다.

군산시는 산북동 지방공단∼4토지 간 도로개설 공사 구간 내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 800㎡를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해 학술적인 가치에 대한 용역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시는 확실한 근거 마련을 위해 지난달 초 진주교육대 부설 한국지질유산연구소에 의뢰해 학술 용역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결과는 이달 중순께 나올 것으로 보인다.

시는 결과가 나오는 대로 다음 달 중으로 문화재청에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곳 공룡발자국 화석은 지난해 7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조사연구실(이하 지질연) 최범영·황재화 박사가 군산도폭 지질조사를 위해 화석조사를 하던 중 발견됐다.

지질연이 이 화석 산지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룡 발자국 대부분이 조각류(鳥脚類·새 골반을 가진 초식공룡)이며, 대·소형 수각류와 익룡 발자국 화석까지 발견됐다.

조각류 발자국 화석은 11개의 보행렬을 가지고 있으며, 184개의 발자국이 발견됐다.

또 대형 수각류 보행렬 1개(9개 발자국)와 소형 수각류 보행렬(27개 발자국) 등 수각류 발자국 36개, 익룡 발자국 17개 등 230여점의 발자국이 발견됐다.


발자국이 찍힌 지층은 암회색 또는 자홍색 이암으로 구성됐으며, 식물화석과 담수성 갑각류 화석 등이 함께 발견된 것으로 미뤄 전기 백악기(1억4500만년∼1억50만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질연은 군산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됨에 따라 서해안에서도 백악기 공룡들이 번성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앞서 지난 달 28일 이곳에서 발견된 발자국 화석 9점을 보존키 위해 군산근대역사박물관으로 옮겼으며, 추가로 발견된 초대형 수각류(獸脚類·두 다리로 보행하는 육식공룡) 발자국 화석(길이 62㎝) 2점에 대해서도 학술적 가치가 높아 다음 달 까지 발굴작업을 통해 박물관에 보존할 방침이다.

(군산=뉴스1) 김재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