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한·중 정상, 무역·환경·核 등 12개 문건에 서명한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7.01 17:32

수정 2014.07.01 17:32

【 베이징=김홍재 특파원】 중국 정부는 3~4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 시 박근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경제무역, 환경, 에너지 협력 등 12개의 문건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한반도 문제 해결과 관련한 한·중 양국의 공통인식이 담긴 공동성명도 채택된다.

류전민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급)은 1일 베이징 외교부에서 시 주석 방한 관련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비롯, 일본의 역사왜곡 문제, 경제 문제 등 다양한 방면에 대해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시 주석은 정상회담을 비롯해 양측 간 협력문건 조인식, 공동 기자회견, 서울대 강연, 경제무역 행사 등에 참여할 예정이다.

우선 류 부부장은 북핵 문제와 관련, "한반도의 평화 안정과 비핵화 추진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며 "한반도 비핵화 추진에 관한 일정한 공통인식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반도 핵 문제, 동북아 평화 안정 문제는 오직 평화, 담판을 통해서만 해결될 수 있다"며 "이들 문제는 반드시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 최고지도자가 북한보다 한국을 먼저 방문하는 것이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중국은 남북과 모두 지속적으로 우호적 관계를 맺고 있고 소통 채널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번 방한은 제3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이번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미사일방어(MD) 시스템 구축 등에 관해서도 의견을 나눌 것임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 류 부부장은 "중·한 양국이 국제·지역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것은 매우 정상적인 것"이라며 "제3국(미국)과 관련한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MD와 관련해 "한국은 미국이 요구한 문제에 대해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며 "우리는 이 지역에서 긴장이 발생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해 사실상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류 부부장은 최근 시 주석의 방한을 앞두고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데 대해 "북한은 자신의 안전을 위해 중시하는 문제들이 많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아울러 일본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 그는 "중·한 양국은 제2차 세계대전 중 모두 일본 군국주의의 피해자로 일본 역사 문제에 대해 공통적으로 우려하고 있다"면서 "양국 정상이 일본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일본이 이날 집단자위권 행사를 허용하는 헌법 해석을 채택하면서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로 전환됨에 따라 이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hjkim@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