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이주열 한은 총재 "美 9월 이후 금리 인상해도 한국경제 감내 가능한 수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1일 "미국의 금리인상이 완만하게 이뤄질 경우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감내 가능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9월 이후 완만하게 이뤄질 경우 국제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 지속 등 기초경제 여건이 건실한 데다 외환보유액(3월 말 기준 3627억달러) 확충, 단기외채 비중 감소 등으로 대외지급능력이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그러나 "연준의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거나 그리스 문제 등 여타 글로벌 리스크와 맞물릴 경우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환율, 금리, 주가 급등락 등 상당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또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개선될 경우 연준의 금리인상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미국 금리인상 속도와 폭에 따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파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연준은 지난해 10월 양적완화를 종료한 데 이어 연내 금리인상을 예고했다.

한은은 이날 국회 업무보고 자료에서 "미국은 경제지표 개선이 뚜렷해지는 시점을 택해 금리인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만 최근 미국의 고용지표 부진, 물가전망 하향 조정 등으로 금리인상 시기가 당초 예상했던 6월보다 다소 늦어질 것이라는 견해다"고 밝했다.

이 총재는 "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물가)과 일반인의 기대인플레이션(물가 전망)이 2%대 초중반 수준을 유지, 디플레이션(물가하락 속 경기침체)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