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1~1.5L의 침이 분비되는데 이보다 적게 침이 나오면 입이 마른다고 느끼게 된다. 또 입으로 숨을 쉬면서 입 안의 수분이 증발되면 주관적으로 구강 건조함을 느낄 수 있다.
입 마름 증상이 심하면 음식을 씹어 삼키기 어려워지고, 말을 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침이 소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소화 장애도 생길 수 있으며, 맵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입 안에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입 마름 증상은 빈혈, 당뇨, 노화, 쇼그렌 증후군 등이 원인일 수 있다. 또 우줄증 등 정신적인 질환도 침 분비에 영향을 줘 입 마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입 마름 증상이 오랫동안 계속된다면 의사를 만나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몇 가지 생활습관 만으로도 입 마름 증상을 줄일 수 있다.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폭스방송은 매니 알바레즈 의학박사의 말을 인용해 입 마름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 5가지를 소개했다.매체에 따르면 ▲물을 자주 마시고 ▲무설탕 캔디를 먹거나 ▲짠 음식과 술을 피하고 ▲담배를 끊어야 하며 ▲밤에 잘 때 가습기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신 음식이나 과일, 채소 등을 섭취해 타액 분비를 자극시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kjy1184@fnnews.com 김주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