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신라 사찰에서 발굴된 출토 유물을 선보이는 기획전시 '良志使錫(양지사석)'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출토유물보관동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기획전은 1,300여 년 전 신라의 대표 조각가 양지 스님이 만든 것으로 알려진 사천왕사(四天王寺) 출토 녹유신장벽전의 복원을 기념하고, 양지 스님의 작품들을 통해 그의 뛰어난 재능과 예술 세계를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녹유신장벽전은 녹색 유약을 칠한 가로 약 70㎝, 세로 약 90㎝, 두께 7~9㎝의 사각형 벽돌로, 표면에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神)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1915년 녹유신장벽전의 부서진 조각들이 최초 발견되었으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2006~2012년 시행한 사천왕사 터 발굴조사에서도 여러 조각이 수습되었다. 비록 완전한 형태는 아니지만 뛰어난 조형성과 높은 완성도로 통일신라 불교 조각의 걸작으로 평가되어 왔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발굴조사를 통해 녹유신장벽전이 사천왕사 목탑의 기단면석(基壇面石)이었음을 밝혀내었으며, 최근 2년간의 연구 끝에 출토된 200여 점의 조각들을 활용하여 3종의 녹유신장벽전을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사천왕사 목탑 기단부를 재현하여 목탑을 장식하였던 녹유신장벽전의 본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녹유신장벽전과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천왕사 창건기 유물을 함께 전시하여, 통일신라의 성전사원(成典寺院)이자 호국사찰로서의 사천왕사를 재구성한다. 그 외에도 양지 스님이 머물렀던 석장사 터에서 출토된 유물과 신라 왕경지역에서 발견된 녹유를 바른 유물들이 함께 전시된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