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로 노사정 대표 4명을 초청해 오찬을 함께한 자리에서 "노사와 충분히 협의하고 노동개혁 입법을 비롯해 그외 여러 필요한 협의사항들을 구체화해 나가는 과정에서 앞으로 계속 협의를 충분히 해나가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세계 경제가 급속하게 저성장 추세로 들어가고 있고, 우리 경제도 국내외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렇게 고통 분담을 해 주신데 대해 진정으로 감사하게 생각한다"면서 "이번에 노사 대표들이 보여준 대화, 타협의 리더십이 앞으로 우리 사회 전체에 퍼져나감으로써 서로 어려움을 나누고 화합하는 따뜻한 사회를 만드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한국노총에서 여러 가지 내부에서 진통이 많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마음을 내려놓음으로써 17년 만에 역사적인 노사정 대타협을 이루게 된 데 대해 국가의 미래, 후세 세대들을 위한 희생이었기 때문에 애쓰신 김동만 위원장님과 노사 여러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여러분들의 결단을 통해 근로시간을 단축하면서 또 청년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줄 수 있게 됐다"면서 "앞으로 실업급여를 확충하고 산재보험 적용을 확대하는 등 사회안전망도 지금보다 더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렇게 노동개혁의 물꼬를 어렵게 텄는데 이것을 완성해서 정착시키기까지 앞으로의 과정도 정말 쉽지 않고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번에 노사정위원회가 보여준 양보와 타협의 정신을 계속 살려나간다면 이것이 한국형 노동개혁의 좋은 모델을 만들 수도 있겠다"고 강조했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