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용량가변형 항공기 냉난방 공급장치 기술'과 '복합환승센터 내 연계환승지원 정보제공 기술' 등 2건을 올 3·4분기 교통신기술로 지정했다고 25일 밝혔다.
29호 교통신기술로 지정된 항공기 냉난방 공급장치는 정차된 항공기가 외부 전원을 통해 온도·습도를 조절한 공기를 항공기 내부에 공급해주는 장치다. 냉난방 공급장치가 없는 경우 항공기가 공항에 정류하는 동안 보조엔진을 가동해 냉난방을 해야 한다. 보조엔진은 항공유를 사용해 연소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문제, 항공사의 경제적 부담 등이 있다.
그동안 인천국제공항 등 일부 공항에서는 전량 수입제품에 의존했으나 이번에 국산화에 성공함으로써 설치·운영비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30호 교통신기술은 대중교통 이용자가 복합환승센터 내 목적지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모니터 등에 이동경로를 보여주는 기술이다. 철도역, 공항, 여객터미널 등 복합환승센터 내 시설·운영 정보, 이동 목적지 정보, 이용자 위치정보 등을 수집·가공해 맞춤형으로 전송해준다.
국토부의 교통신기술 보호기간은 5년이다. 심사를 통해 2년 더 연장할 수 있다.
ehkim@fnnews.com 김은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