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대통령실

[2015 국감]평생교육 지원 학점은행제가 대학의 학점장사 수단?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9.27 15:06

수정 2015.09.27 15:06

국민들의 평생교육 지원 등을 위한 학점은행제도가 사실상 대학들의 학점장사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안민석 의원이 27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학점은행제 운영 실태점검 현황' 국감자료에 따르면, 학점은행제 인증기관 567개의 한 해 수입이 5000억원에 이르고, 지난 7년간 학사관리 부실 등으로 적발된 기관이 174곳에 달했다.

올해 실태 점검 결과에 의하면 한 유명 사립대의 경우 수강생을 모집하면서 석사학위 소지자인 해당과목 강사 및 교수를 박사학위 소지자로 과대광고를 하다 적발됐고, 출석을 절반밖에 하지 않은 학생의 출석을 100% 인정해 주는 등 출석부정이 총 12과목에서 발견되는 등 다양한 부당행위가 적발됐다.

다른 사립대에선 수강생을 직접 모집해야 함에도 위탁업체에 위임한 사실이 적발돼 계약을 해지토록 시정조치 했으나 다음해에 위탁업체와 또 다시 재개약을 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밖에도 시설 등 평가인정사항을 사전승인 없이 임의로 변경하다 적발되기도 하는 등 위법 행위가 도를 넘고 있어 철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이 같은 심각한 위법행위에도 처벌은 솜방망이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계속되자 교육당국은 부랴부랴 올해부터 벌점제도를 도입해 누적 벌점에 따라 운영 정지나 평가 인정 취소 등 행정처분을 내릴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전형적인 '뒷북행정'이라고 안 의원실은 밝혔다.


안 의원은 "학점인증제가 국민의 평생교육 진흥에 이바지하기 보다는 기관들의 학점장사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며 "교육부가 개선방안을 마련한 만큼 더욱더 엄격하게 관리감독 해야 한다"고 밝혔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