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김정훈 의원(새누리당)에게 제출한 '국내 대학병원 출점·후원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지방은행과 특수은행을 포함해 국내 18개 은행 가운데 11곳이 64개 대학병원에 출점했다.
64개 대학병원 중에 출점과 관련해 직·간접적으로 후원금을 받은 곳은 전체의 51.6%인 33곳이었다.
신한은행이 14곳에 후원금을 지급해 가장 많았고, 농협은행(4곳), 우리·대구은행(각 3곳), 국민· 광주은행(각 2곳), 하나·SC·기업·전북· 제주은행(각 1곳) 순이었다.
11개 은행이 33개 대학병원에 출점하면서 계약기간에 직·간접적으로 지급한 후원금액은 813억3300만원에 달했다.
은행별로 보면 14곳에 후원금을 낸 신한은행이 후원금도 427억7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우리은행(122억1200만원), 농협은행(95억4700만원), 대구은행(34억4000만원), SC은행(21억2300만원), 기업은행(2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병원 중에서는 삼성서울병원이 10년간의 현재 계약기간(2006~2015년)에 137억6000만원으로 가장 많은 발전기금을 후원받았다.
연세대세브란스병원이 111억8700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서울대학교병원(110억6000만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79억9700만원), 한양대학교병원(60억원) 등도 큰 액수를 받았다.
11개 은행이 64개 대학병원에 출점 계약을 체결한 형태를 보면 경쟁 계약은 28곳인 반면 수의계약이 36곳으로 더 많았다. 특히 후원금을 받은 33개 대학병원의 계약 형태 중에는 수의계약이 26개로 상당수를 차지했다.
게다가 대학병원과 은행이 출점 약정을 체결할 때 작성되는 합의서는 대부분이 비공개였다.
더욱이 후원금을 지원한 11개 은행 모두 대학병원에 내놓은 후원금에 대한 확인절차가 없고, 확인한 적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훈 의원은 "후원금을 지원한 은행에서 어디에 사용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규정이나 절차도 없고, 현재까지 확인한 적도 없다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sijeon@fnnews.com 전선익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