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전히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여부나 선거구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만큼 남은 국감도 '졸속'으로 마무리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당인 새누리당은 박근혜 정부가 올 하반기 국정과제로 내세운 '노동시장 개혁' 완수와 중국.뉴질랜드.베트남과의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의 연내 처리를 위해 이와 관련된 외교통일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등에 당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집권 여당으로서 이번 정기국회 내 박 정부가 강조하는 '노동개혁'과 '경제활성화 법안' 등을 처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풀이된다.
특히 여당은 전반기 국감에서 여전히 '호통치기' '모욕주기' 등의 구태적인 방식이 방복된 만큼 남은 국감에서는 '정책 국감'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신의진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무리한 증인 출석 요구와 졸속, 부실로 '맹탕국회'라는 오명을 들었다"면서 "불필요한 증인 소환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증인신청 실명제'를 입법화하고 정당한 이유없이 불출석하는 증인에 대해서는 그 처벌을 강화하기로 하는 등 '민생국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도 노동개혁에 맞서 '재발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부실 대응의 책임을 묻는 등 박 정부에 대한 압박수위를 한층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최근 논란이 된 '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청소년의 역사관을 왜곡하는 시도로 규정하고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의원들 등과 국정화 저지를 시도할 예정이다.
jyyoun@fnnews.com 윤지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