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국립산림과학원과 생태보전시민모임, 사회적기업 터치포굿과 함께 '제비 SOS(Swallow of Seoul) 2015' 프로젝트를 추진해 15개구에서 총 616개의 제비 둥지를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서울시는 시민 제보와 문헌 연구 등으로 제비 서식이 확인된 자치구에서 5∼8월 서식처를 조사했다. 그 결과 올해 제비가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사용둥지 139개와 과거 사용한 옛 둥지 477개를 발견했다.
사용둥지를 대상으로 제비 개체수도 산정했으며 최소 650개체의 제비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강동구에 가장 많은 238개체가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마포구 110개체, 양천구 79개체, 강서구 62개체, 동대문구 48개체 등으로 조사됐다.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이 많이 분포하고 주변에 하천을 끼고 있어 상대적으로 먹이자원이나 둥지재료 확보가 수월한 지역을 대상으로 분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서울시는 이번에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제비 서식 지도를 작성하고, 올 연말까지 홈페이지에 게시할 계획이다. 또 향후 하천 등 서식지 보호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를 시작으로 매년 제비 개체수를 조사해 증감에 대한 변화 추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계획이다.
또 서울시는 오는 2일 오전 10시 서울 세종대로 서울시청 시민청 태평홀에서 제비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제비 SOS 토크콘서트'를 연다.
오해영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에서 사라지고 있는 보호야생동물에 대해 시민과 함께 보호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자연과 사람이 공생하는 생태도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