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印, 외자유치 적극 나선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11.11 17:55

수정 2015.11.11 21:40

소매업 관련 외국인 투자 제한 대폭 완화
인도가 그동안 외국인 투자자에게 인색하던 각종 소매업의 규제를 대폭 풀고 외자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외부에서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주 지방선거 참패에 따른 위기감으로 강수를 뒀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10일 특정 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비율 제한을 풀고 소매업체의 현지 물품 의무 사용 기한을 줄이는 개혁안을 발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방송과 각종 소비재, 항공 및 신용정보 조회 사업 등의 외국인 지분 제한이 사라진다. 기존에 74%로 제한되던 위성방송 및 케이블방송의 외국인 지분 비율이 100%로 늘어난다.

뉴스미디어에 대한 외국인 지분 제한도 26%에서 49%로 완화된다. 이외에도 항공기임대와 신용정보제공 업계의 외국인 최대 지분 비율도 74%에서 100%로 늘어난다. 커피와 고무, 인도 향신료인 카다멈과 야자유 사업의 외국인 투자 비율 역시 100%까지 가능해 진다.

아울러 외국 소매업체들의 현지 제품 의무 공급 기한이 완화된다. 현재 외국 업체들은 인도에 투자를 시작한 시점부터 5년 안에 취급품목의 30%를 인도에서 조달해야 한다.

새 규정에 따르면 이제 투자 시점이 아니라 첫 가게를 개장한 시점부터 5년 내 30% 목표를 달성하면 된다. 인도 업체와 합작하지 않은 외국 독자 브랜드들의 온라인 판매 역시 허용된다.

같은 날 아룬 자이틀리 인도 재무장관은 이번 조치가 "해외 자본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진됐다고 말했다.

WSJ는 스웨덴 가구업체 이케아가 개혁안 실행에 적극적인 로비를 했다고 전했다.
이케아는 2017년 인도 매장 개설을 추진 중이며 현지 생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WSJ는 모디 총리가 지난해 취임 후 지속적으로 경제 개방과 규제 개혁을 주장했지만 실질적으로 이룬 것이 적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지난 8일 인도 비하르주 주의회 선거에서 모디 총리가 이끄는 인도국민당이 지역 정당 자나타당에 크게 밀린 이후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 이 같은 개혁안을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