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구 5곳 공천안 대표직인 날인 거부.. 총선 판도 출렁
여야가 지역구와 비례대표 후보자 공천을 마무리 지으면서 본격적인 총선체제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당은 후보등록이 시작되는 24일까지 공천을 둘러싼 막장대결 양상을 띠면서 전체적인 총선 판도가 크게 출렁일 전망이다.
김무성 대표가 이한구 체제의 당 공천관리위원회가 의결을 요구한 서울·대구 등 5곳에 대한 공천 의결을 거부하면서 '무공천지역'으로 남겨둔 것이다. 이에 이재오 의원이 탈당한 서울 은평을(유재길 공천)을 비롯해 유승민 의원의 대구 동을(이재만 공천), 류성걸 의원의 대구 동갑(정종섭 공천), 서울 송파을(유영하 공천), 대구 달성(추경호 공천)에서 공천장을 받은 후보들은 20대 총선 출마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공관위의 공천안에 대한 의결권을 가진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해야 할 김 대표가 '옥새'(대표 직인)의 날인을 '보이콧'한 것이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 당을 살아 있는 정당, 건강하고 활기찬 정당으로 만드는 길이 무엇인지 많은 분께 묻고 또 저 자신에게 물었다"며 "그 결과 잘못된 공천을 최소한이나마 바로잡아서 국민께 용서를 구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불과 4시간20분 전에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브리핑을 통해 공천과정에서 불거진 사천·학살공천 논란 등에 대해 국민적 이해와 용서를 구하면서 유권자들의 지지를 요청했지만 김 대표도 같은 논리를 내세우며 당 공관위의 부당한 공천을 문제 삼고 공천안 의결을 거부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됐다.
특히 날인을 거부한 지역구가 김 대표가 상향식공천제의 취지를 훼손했다면서 공관위에 재논의를 요구했던 이재오 의원을 비롯해 이른바 '진박(진실한 친박) 후보'군인 정종섭·추경호·이재만 후보 지역구여서 공천을 총괄한 이한구 위원장과 청와대의 '의중'을 김 대표가 정면 반박한 결과로 해석된다.
김 대표로선 비록 자신의 직계의원들에 대한 공천을 성사시켰지만 자신과 '순망치한' 관계였던 유승민 의원이 이 위원장 주도의 공관위와 신경전 끝에 사퇴시한에 몰려 전날 오후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자 청와대와 친박계의 '다음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승부수'라는 분석이다.
자신이 강조한 상향식공천제 취지가 훼손된 채 특정 계파 위주로 공관위 시스템이 작동되면서 수도권 및 영남권 등에서 경쟁력 있는 여당 후보들이 대거 낙천하면서 전체적인 선거판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감의 발로라는 관측도 있다.
하지만 집권여당 대표와 공천을 총괄한 공관위원장이 내부조율을 통한 합의보다는 공개 기자회견을 통해 '너는 너, 나는 나'라는 식의 격화된 갈등양상을 초래하면서 당 내부의 거중조정력이 상실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당장 청와대와 친박근혜계는 김 대표의 직인 날인 거부에 대해 강력 반발하면서 총선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했다. 특히 당 지도부 간 공천을 둘러싼 갈등이 갈수록 격화하면서 집권여당의 공천시스템에 대한 국민적 신뢰도가 저하되는가 하면 무소속 출마 러시, 친유승민계 무소속 연대 움직임 등이 맞물리면서 전체적인 총선 판도에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기류가 적지 않다.
일각에선 청와대와 친박계의 의중을 공천과정에 적용하려는 이 위원장과 잠재적인 대권주자인 김 대표와 경쟁적 조력자인 비박계 간 치열한 세 싸움의 뇌관이 터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