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다가오는 4.13총선] 정책·얼굴 알리기 전전긍긍.. 후보들, TV토론에 승부 건다

이진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4.05 17:32

수정 2016.04.05 22:34

예상 질의응답 리허설 등 지역현황·수치 공부 몰두
무소속·군소정당 후보들 TV토론 기회 적어 불만
[다가오는 4.13총선] 정책·얼굴 알리기 전전긍긍.. 후보들, TV토론에 승부 건다

유권자들의 냉담한 반응에 '속앓이'를 하고 있는 여야 총선 출마자들이 TV 토론회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여야의 공천 파동과 정치에 대한 무관심 등으로 유권자들과의 직접 대면접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후보자들로선 공개적인 TV토론회가 정책 홍보나 얼굴알리기에 매우 '효과적인' 유세방식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일부 후보는 측근들과 예상 질의답변 리허설을 갖는 등 실제 토론시 당황하지 않고 상대 후보와의 토론 대결에서 밀리지 않도록 구체적인 지역 현황 및 수치 등을 공부하는 등 사전 준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실제 상당수 여야 후보들이 거리유세 자체에 대한 유권자들의 반감과 선거에 대한 관심 저조까지 겹치면서 거리 유세를 통한 지지세 확산에 애를 먹고 있다. 다만 일부 군소정당 후보의 경우 자격기준 미달로 토론회 참여기회가 제한돼 '불평등' 문제를 제기하는 등 일부 논란이 일고 있다.

■TV토론, 정책홍보-인지도 제고…효자노릇

서울 강서갑에 출마한 민주당 신기남 후보는 TV토론회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한 때 야당 중진의원으로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그였지만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컷오프(공천배제)돼 군소정당인 민주당으로 말을 갈아탄 이후 거리유세만으로 자신을 어필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신 후보는 TV토론을 통해 더민주 공천과정의 부당함과 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나름의 소신과 배경을 설명하고, 다양한 정책적 비전 제시와 지역발전 방향 등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신 후보는 5일 본지 기자와 만나 "후보자 TV 토론회가 이렇게 중요한 줄 몰랐다"고 운을 뗐다.

이어 "과거에는 '정부·여당심판론'과 같은 아젠다를 가져도 (선거구도가) 충분했는데, 그럴 경우 더불어민주당과 차별성이 없게된다"며 "민주당 민생기조에 맞는 정책 중심의 유세전략을 취하고 있어 TV 토론회가 그나마 정책을 알릴 유일한 창구"라고 털어놨다.직접 대면접촉 기회인 거리유세만으로는 민주당 정책공약을 홍보할 기회가 적고 더민주 후보와 정책적 변별력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얘기다.

서울 마포갑에 출사표를 던진 새누리당 안대희 후보는 "거리유세로는 공약을 알리는 데 한계가 있다"며 "토론회 전날은 일정을 비워둘 정도로 공 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 후보측은 토론회 전에 자신의 험지출마 배경과 함께 정책적 비전 등 다양한 예상 질의서를 토대로 측근들과 집중적으로 리허설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현안과 관련된 다양한 수치를 비롯해 숙원사업과 해결방안, 중앙정부 및 서울시와의 정책협조 계획 등 경제·사회적 현안별로 다양한 논리개발에 치중했다는 후문이다.

서울 강서을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후보는 야당의 대표적인 '논객'답게 예상 현안별 카데고리를 정해놓고 직접 원고를 썼으며 토론회 직전까지 보좌진들과 함께 토론시 억양과 시선처리 등 '디테일한' 부분까지 신경을 쓴 것으로 전해졌다.

■군소정당 후보들 '불공평' 반발

TV 토론회는 거리유세에 비해 불특정 다수의 유권자를 단시간에 폭넓게 접촉할 수 있는 데다 거리유세에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었던 지역발전 정책 공약들을 유권자들에게 보다 용이하게 전파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현행 공직선거법 제60조에 따르면, 후보들은 공약집은 무상으로 배포할 수 없다. 수도권에 출마한 한 군소정당 후보는 "정책을 알리고 싶어도 유료로 (공약집을) 팔아야 하는데, 누가 사겠냐"며 "정책을 알릴 기회가 적어 이미지 중심 선거로 흐를 수 밖에 없다"고 정책 홍보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상대적으로 토론회 참여 기회가 적은 무소속 및 군소정당 후보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거대정당에 비해 정당 명에 대한 대중적 인지도가 낮아 정책알리기 기회가 적은 데도 토론회 참석 기회조차 거의 주어지지 않아 기존 정당 후보들과 '형평성'에서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다.

현행 공직선거법 제82조는 토론회 참석 자격을 국회에 5인 이상 소속의원을 가진 정당, 여론조사 평균 지지율이 5%를 넘는 후보자 등으로 제한한다. 노동당 장항배 정책실장은 "선거 후보들은 같은 기탁금을 내는데 군소정당이라고 토론회에 나갈 수 없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주장했다.

서울 종로에 출마한 노동당 김한울 후보는 여론조사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 토론회에 나가지 못했다.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가 아예 조사 대상에서 빠졌기 때문이다. 장 실장은 "객관적이지 않은 여론조사를 토론회 판단 기준으로 삼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비례대표 후보자 TV 토론회도 사정은 비슷하다.


주요 정당에게는 2차례에 걸쳐 2시간의 토론 시간이 배정됐지만, 나머지 16개 군소정당에게는 단 1차례, 2시간 토론회만 허용됐다. 단순 균등 계산을 하더라도 주요 정당은 1시간인 반면 군소정당은 7.5분으로 '심각한' 기회의 불평등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관계자는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2005년 8월까지는 군소정당 토론기회 자체가 없었고 현재 토론회는 그나마 보완된 제도"라며 "앞으로 추가 제도개선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kim@fnnews.com 박지훈 기자 김가희 이진혁 수습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