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정부, 1차 당류 저감 계획 추진.. 국민 하루 평균 77g→50g 목표
가공식품에 섭취량 표기 의무화.. 키즈카페 등 탄산음료 판매 제한
당류 줄이기 국민실천운동 전개
가공식품에 섭취량 표기 의무화.. 키즈카페 등 탄산음료 판매 제한
당류 줄이기 국민실천운동 전개
![[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 비만·당뇨 비상.. 하루 당류 섭취량 200㎉ 이하로 줄인다](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16/04/07/201604071807520174_l.jpg)
정부가 설탕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2010년 나트륨 줄이기에 이은 국민 식생활 개선과 건강관리를 위한 두번째 정책 추진이다. 정부가 이번 당류 섭취량 줄이기에 나선 것은 식생활 서구화 등으로 어린이, 청소년층의 당류 섭취가 급증하고 이로 인한 비만·당뇨병 같은 만성질환 등 국민건강관리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하루 열량의 10% 이내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제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종합대책은 국민 개개인의 식습관 개선, 당류섭취 절감 필요성에 공감하도록 하는 국민 실천운동,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 감축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하루 열량의 10% 이내로 관리하기로 했다. 하루 열량 2000㎉를 섭취하는 성인의 경우 200㎉ 이하로 묶겠다는 것이다. 이를 당으로 환산하면 50g이며 무게가 3g인 각설탕 16~17개 정도다.
![[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 비만·당뇨 비상.. 하루 당류 섭취량 200㎉ 이하로 줄인다](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16/04/07/201604071807520744_l.jpg)
■20대 2명 중 1명 당류 섭취 과다
식약처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은 약 72.1g이다. 이 가운데 가공식품(우유 제외)을 통한 당류 섭취는 44.7g으로 아직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기준보다는 낮다.
문제는 식생활 서구화 등으로 당류 섭취가 2010년 7.6%, 2011년 7.7%, 2012년 8.1%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2010년에는 19∼29세, 2013년에는 3∼29세에서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총 열량의 10%를 넘어 기준을 초과한 상태다.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19~29세가 59.0g으로 가장 많다. 이들 연령대에서는 2명 중 1명이 섭취기준인 열량 대비 10%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공식품으로부터 당류 섭취량이 1일 열량의 10% 이상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질병 발생 위험이 비만은 39%, 고혈압은 66% 높다. WHO는 유리당으로 1일 열량의 10% 이내 섭취를 권고하고 지난해에는 회원국의 상황에 따라 5% 이내로 줄일 것을 추가로 제안했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비만에 따른 사회적비용이 연간 6조8000억원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매년 크게 늘고 있다.
■당류 적게 먹기 국민실천운동
식약처는 이에 따라 먼저 당류 섭취가 단맛에 대한 선호와 식습관과 관련돼 있는 만큼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시럽.탄산음료 줄이기 등 당류 적게 먹기 국민실천운동을 통해 국민인식 제고에 나서기로 했다.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및 교육부와 협력해 당류 줄이기 교육을 강화하고 국민 공통 식생활지침을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마련한다. '시럽은 한 번만' 등 생활 속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천 메시지 발굴을 위해 국민 아이디어 공모도 실시한다.
국민 스스로 당류 섭취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개인 영양관리 스마트폰 앱인 칼로리코디를 제공하고, 개인이 단맛 적응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보건소, 병원 등에 단맛 미각 판정도구 보급을 확대한다. 내년엔 비만캠프에 당류 줄이기 프로그램을 도입해 청소년들에게 당류 함량을 줄인 식단을 제공하고 탄산음료 등이 제한된 생활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당 함량 표기 등 관련정보 제공 확대
소비자들이 저당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도 추진된다.
당류 등 영양표시 의무 대상 가공식품을 확대하고, 키즈카페 등에서의 탄산음료 판매를 제한한다.
영양표시 의무화 등 당류 관련정보 제공을 확대한다. 영양표시 의무 대상 가공식품을 2017년까지 시리얼류, 코코아가공품으로, 2019년에는 드레싱, 소스류로, 2022년까지는 과.채가공품류 등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탄산음료.캔디류 등 어린이 기호식품 중 당류 함량이 높은 고열량.저영양 식품은 단계적으로 고열량.저영양 식품임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한다. 특히 영양표시를 나트륨, 당 등 정부가 관리하는 영양소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당 함량이 높은 커피(음료)전문점 디저트, 슬러시, 빙수 등의 조리식품에 자율 영양표시를 확대하도록 유도하고 음료 자판기 등에서 판매되는 음료의 당류 자율 표시를 추진한다.
식품별 당류 줄이기 목표와 연도별 가이드라인도 마련된다. 저감기술의 일환으로 대체 감미료 등의 사용 가이드를 마련하고 '당을 줄인' '저당' 등의 표시.광고가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한다.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당류 함량이 높은 식품 판매를 제한하고 키즈카페, 과학관, 수련원 등 어린이.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에서 탄산음료 등 판매제한을 권고한다. 또한 학교 내 자판기에서 커피 판매가 금지되고, 학교 및 학원주변 식품 판매점에서는 소용량 음료를 우선 판매하도록 유도한다.
손 처장은 "이번 종합대책에 따라 국민들이 스스로 당류에 대한 인식과 입맛을 개선하고 당류 저감 식품들의 생산.유통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 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