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육군 다이어트 전투 돌입, 비만 간부 고향 앞으로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5.05 14:03

수정 2016.05.05 14:03

올해부터 육군 간부들의 몸무게가 진급 요소에 포함돼, 군에 다이어트 열풍이 일것으로 보인다.

육군은 올해부터 간부들의 체질량지수(BMI) 측정 결과를 인사관리에 반영하는 '간부 체격관리제도'를 전면 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BMI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도를 측정하는 지수를 말한다. 간단하게 비만 정도를 측정할 수 있어 많은 국가에서 비만 측정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육군이 BMI 측정치를 인사관리에 반영키로 한 것은 군 간부가 스스로 임무 수행에 적합한 군인 다운 체격과 체력, 건강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자는 취지라고 한다.



미군도 BMI와 체지방 비율을 넘어서는 간부에 대해 진급과 교육, 지휘관 보직을 제한하고 있다. 미군은 지난2002년부터 BMI 측정을 도입했다. 미군의 경우 BMI가 25를 넘을 경우 과체중으로 분류되며, 신체검사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일명 ‘뚱뚱이 과정’에 의무적으로 참여해 체중을 조절해야 한다.

한편, 육군은 올해부터 신체검사에서 측정한 BMI를 간부들의 개인 자력표에 기록하고, BMI가 30 이상인 고도 비만자는 진급 심사 때 잠재역량 요소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로 했다.

하지만 해당 연도에 꾸준히 체력을 관리해 BMI를 기준치 이하로 낮추면 개인 자력표 기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했다.

하범만 육군본부 보건정책과장(대령)은 "고도비만인 간부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체격관리제도 시행을 통해 군 간부가 스스로 최상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군인다운 체형을 갖출 수 있도록 동기를 불어넣는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육군 간부들이 건강하고 강인한 군인으로 정예화되어 전투력 발휘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육군은 BMI가 30 이상인 간부들에게 사단급 의무대에서 운영하는 비만 클리닉을 이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특히 개인별 체질과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군 간부 웹기반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 이달 중 3개 사단을 대상으로 시범 실시한 다음 올해 하반기에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8주간 진행되며 해당 부대 간호장교들이 시행 기간 웹상에서 지속해서 관리하게 된다.

하지만 군 간부 출신의 예비역들은 단순히 외국군의 제도를 흉내만 낼 것이 아니라 간부가 비만이 되는 군대문화를 혁파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한다.

한 예비역 소령은 "진급누락과 계급정년으로 강제전역을 해야하는 우리 군의 특성상 식생활과 운동습관에 문제가 생긴다"면서 "아파도 주위의 눈치를 봐야하고 '참는 것이 명예'라는 군대문화가 바뀌지 않으면 비만프로그램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captinm@fnnews.com 문형철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