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 중심 입법기능 개선 필요"
![[fn이사람] 이옥남 바른사회시민회의 정치실장 "입법기능, 상임위 중심으로 개선해야"](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16/05/17/201605171827058960_l.jpg)
"치밀한 조사와 철저한 분석이 저의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지난 2013년부터 3년간 시민단체인 바른사회시민회의에서 국회의원 의정활동 모니터링을 담당해온 이옥남 정치실장(사진)은 17일 모니터링 노하우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웃으며 이같이 답했다.
이 실장은 국회 '외부 자문가'로 꼽힐 정도로 각종 언론사의 단골 자문위원 역할을 해오고 있다.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공천과정에서 계파갈등으로 몸살을 앓았을 때도 정치권이 밥그릇 싸움보다는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경제활성화 법안 발의에 더 당력을 집중해야 한다며 줄곧 국회를 향해 '쓴소리'를 했다.
주로 올바른 시장경제질서 수립 방안 등 '경제분야'를 연구해오던 이 단체에서 그가 '정치' 분야 모니터링에 뛰어든 계기는 간단하다.
이 실장은 "국회는 수백명이 근무하는 입체적인 곳이기 때문에 섣불리 접근해서는 제대로 된 비판을 할 수 없다"며 "실증적 분석과 자료에 근거해 전문적인 모니터링이 이뤄져야 국회를 제대로 비판할 수 있다"고 힘줘 말했다.
이에 이 실장의 하루일과는 각종 법안들을 살펴볼 수 있는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을 살펴보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서도 미처 파악하지 못할 때는 국회 사무처와 상임위별 속기록까지 샅샅이 훑어본다고 한다. 최근에는 국제정치와 관련된 박사과정까지 준비하고 있어 주말마다 출근해 부족한 모니터링 시간을 채우고 있다고 이 실장은 설명했다.
국내외 정치를 두루 공부하다 보니 현 국회에 아쉬운 점도 그만큼 많다고 한다. 가장 아쉬운 점은 상임위원회 중심으로 국회가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실장은 "19대 국회의 경우 각자 당별로 집안싸움에 몰두하다 보니 국회 최우선 역할인 입법기능이 잘 이뤄지지 못했다"며 "발의된 법안도 주로 포퓰리즘(보여주기식) 법안이 많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철저하게 상임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미국처럼 국회 입법기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20대 국회에서는 의원들이 발의한 각종 법안을 모니터링해 그 의미를 되짚어보고, 관련 현장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토론회를 적극 마련하겠다는 게 이 실장의 복안이다.
특히 이 실장은 20대 국회에서 꼭 바로잡아야 할 사안으로 △제대로 된 국회 운영을 위한 국회법 준수 △연중 상시국회 도입 △무노동.무임금 원칙에 입각한 엄격한 세비 지급 △공부하는 국회 환경 조성 등을 꼽았다.
이 실장은 "가령 국회의원 해외출장의 경우 그간 '외유성'으로 이뤄진다는 지적이 많았다"며 "매년 개최되는 다보스포럼 등과 같은 세계 경제포럼 참석 일정을 출장에 포함시켜 공부하는 출장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jyyoun@fnnews.com 윤지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