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일반

인조잔디·우레탄 트랙 유해성 높다는데... 캠퍼스는 '관리 사각지대'

김병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6.02 16:31

수정 2016.06.02 16:31

인조잔디 관리 비용. 문화부 2013년 발표...서울지역 한 대학에 설치된 인조잔디와 우레탄 트랙...화상에

인조잔디와 우레탄 트랙의 유해성이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 캠퍼스가 관리감독 사각지대로 지목되고 있다. 대학이 자체적으로 설치했고 관리책임이 총장에게 있기 때문에 유해성 문제가 생기지 않는한 관여하기 어렵다는 게 교육부의 입장이다. 환경부 역시 대학 캠퍼스는 조사계획이 없어 노후 인조잔디와 우레탄 트랙 문제는 계속 안고 가야하는 상황이다.

■캠퍼스 인조잔디·우레탄 트랙 관리 사각지대
2일 교육부와 환경부에 따르면 초·중·고교의 인조잔디와 우레탄 트랙이 수명 초과 중금속 검출 등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 캠퍼스는 별다른 조사 계획이 없는 상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인조잔디나 우레탄 트랙에 대해 자체적으로 관리한다거나 규정은 없다"면서 "기본적으로 대학의 시설관리는 총장이 자율적으로 하고 자체적으로 필요해 의해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관여할 부분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 예산이 지원된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개입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다만 "대학도 조사해 볼 필요는 있다"면서 "환경부에서 조사를 해 유해하다는 결과가 나온다면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지역 한 대학에 설치된 인조잔디와 우레탄 트랙
서울지역 한 대학에 설치된 인조잔디와 우레탄 트랙

교육부는 환경부가 유해성 부분을 담당하기 때문에 직접 관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환경부는 대학 캠퍼스 관리는 교육부 소관이라는 시각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우레탄 트랙 유해성 발표 이후 군부대와 체육시설 등에서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며 "초등학교의 경우 어린이들이 앉고 만지기 때문에 조사를 한 것이고 대학은 교육부쪽에서 따로 진행해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지난 3월 수도권 초등학교의 우레탄 트랙 25개 중 13개가 한국산업표준 납 기준치 90mg/kg 초과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인조잔디의 경우 설치후 시간이 경과할 수록 인체 유해성이 높아져 서울지역 초·중·고의 경우 철거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인조잔디가 더 위험…자체 관리도 안돼
문제는 인조잔디나 우레탄 트랙 모두 설치가 오래될수록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녹색당에 따르면 인조잔디의 경우 내구연한인 7년이 경과하면 마모가 되거나 벗겨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정도는 더 심해진다. 특히 침이나 땀, 인조잔디 세척에 쓰이는 화학제품으로 인한 문제도 발생한다.

우레탄 트랙의 경우 이번 환경부 조사에서 설치 시기가 오래될 수록 중금속의 농도가 높았다.

인조잔디 관리 비용. 문화부 2013년 발표.
인조잔디 관리 비용. 문화부 2013년 발표.

이같은 상황에서 대학들 역시 인조잔디나 우레탄 트랙에 대해 사실상 무방비 상태다.

서울지역 사립대 시설 관계자는 "인조잔디나 우레탄 트랙 관리에 관한 규정을 별도로 두고 있지 않다"면서 "대부분의 대학들이 단순히 오래됐다고 교체나 철거를 생각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사립대 관계자도 "인조잔디나 우레탄 트랙에 대해 특별한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인조잔디는 내구연한이 지나면 개·보수 비용만 1억~1억5000여만원이 소요된다. 철거를 할 경우에도 적지 않은 비용이 든다.


녹색당 관계자는 "7년이라는 기간도 임의로 정해진 것이지만 초·중·고의 경우 관리감독이라도 이뤄지고 있다"면서 "대학 캠퍼스 등 학교 밖의 시설들은 아무런 기준도 없이 방치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cynical73@fnnews.com 김병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