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청년고용정책 '속빈 강정'] 朴정부, 3년간 혈세 4조원 쏟아붓고도.. '청년실업률 10%'

김용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7.19 17:32

수정 2016.07.19 22:04

대통령이 강조한 청년고용.. 국정운영 중심에 '일자리'
막대한 재정 투입했지만.. 양질의 일자리 창출 못해
결국 인턴·비정규직 양산.. 청년실업률 매달 '신기록'
[청년고용정책 '속빈 강정'] 朴정부, 3년간 혈세 4조원 쏟아붓고도.. '청년실업률 10%'

[청년고용정책 '속빈 강정'] 朴정부, 3년간 혈세 4조원 쏟아붓고도.. '청년실업률 10%'

[청년고용정책 '속빈 강정'] 朴정부, 3년간 혈세 4조원 쏟아붓고도.. '청년실업률 10%'

청년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박근혜정부의 정책들이 무위에 그치고 있다.

19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정부는 2013년 현 정부 출범 이후 2016년 4월까지 총 9차례의 청년고용대책을 발표, 최근 3년간 4조원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지난 2013년 1조3334억8500만원, 2014년 1조3316억2200만원, 2015년 1조7584억원 등 1조원대에 그쳤지만 2016년에는 2조1113억원의 예산을 썼다.

정부가 거시경제운용 패러다임을 성장률 일변도에서 고용률을 강조하는 등 일자리 중심으로 국정운영 방향을 정한 데 따른 것이다.

그럼에도 청년 실업률은 여전히 심각하다. 당장 지난 6월 청년 실업률은 10.3%를 기록했다.
6월만 놓고 보면 외환위기 여파로 청년 실업률이 높았던 1999년 6월(11.3%)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다. 올 들어 1월만 제외하고 2월부터는 매달 역대 최고치다.

정부의 청년 일자리 사업들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세대 간 상생고용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정년 연장에 따른 기업의 신규 채용이 급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사업을 추진했다. 청년 일자리를 늘린 기업에 최대 일인당 연간 108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6000명의 고용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이를 위해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123억3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했지만 실제로는 전체 예산의 14.7%에 불과한 18억700만원만 집행됐다. 이를 통해 채용된 이가 157명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집행률 69.9%)와 해외취업 지원(95.3%) 역시 추경을 통해 예산을 추가로 확보했지만 다 쓰지 못했다.

이뿐 아니다. 문화예술기관의 연수단원을 지원해 주는 예술인력 양성사업에도 45억6800만원의 예산이 책정됐지만 관련 취업률은 3.3%에 불과했다. 중소기업 근속장려금(취업률 30.3%), 항공전문인력 양성(22.4%), 해외 산림 인턴지원(14.3%) 등의 실적도 기대에 못 미쳤다.

■"'좋은 일자리' 없인 백약이 무효"

이 탓에 정부의 청년고용대책이 헛돌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막대한 재정을 투입해 청년고용대책을 내놓긴 했지만,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지 못하면서 결국 인턴과 비정규직 등 한시적 일자리만 늘렸다는 지적이다. 정부 역시 지난해 '청년고용대책 이행사항 모니터링 및 실효성 제고방안'을 통해 이를 인정한 바 있다.

실제 정부 일자리 사업으로 취업한 청년들의 근속기간은 매우 짧다. 실제 고용노동부가 2013년 정부의 일자리 창출에 참여한 청년들이 2015년 취업상태에 있는지 추적 조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 2013년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사업에 참가한 6만9975명 중 2015년 현재 중도탈락자와 미취업자 비중은 49%로 조사됐다.

직업훈련 중 하나인 국가기간.전략산업 직종훈련에 참여한 청년 중 52.5%, 같은 직업훈련 중 하나인 기술.기능인력 양성사업에서 36.3%는 각각 미취업자로 집계됐다. 또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의 경우 2013년 인턴으로 채용된 청년 중 중도탈락자 비중이 26.0%에 달하고 이 중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1년 동안 고용을 유지한 사람은 38.5%에 불과하다.

■저임금 비정규직 일자리 비중 높아

국회 예산정책처의 분석을 보면 청년고용대책을 통해 취업한 일자리 중 비정규직 비율은 42.4%다. 이는 스스로 취업한 경우의 비정규직 비율(30.0%)보다 높다. 또 청년고용대책을 통해 취업한 일자리의 월평균 임금소득 150만원 이하의 저임금근로 비율도 40.1%로 스스로 취업한 경우 저임금근로 비율(24.3%)보다 훨씬 높다.

정부가 '청년내일채움공제' 등을 통해 기업에 지급하는 지원금 중 일부를 감액해 청년에 직접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이는 중소기업 취업 청년에 2년간 1200만원 가량의 목돈을 만들어주는 제도로 기존 기업에 지급하던 정규직 전환금 390만원 중 300만원을 청년에게 주고, 정부가 300만원, 스스로 300만원을 모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다만 이 제도가 외려 역효과를 낼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당장 고용노동부 청년인턴제 운영기관에 근무하는 A씨는 "지금까진 정부가 청년 1명당 390만원의 돈을 기업에 줬기 때문에 중견.강소기업 등도 이 제도에 참여했지만, 기업에 주던 390만원의 지원금 중 300만원을 취업자에게 주게 되면서 인기가 없는 소기업들만 신청하고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