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글로벌교육포럼'
"개인의 개성과 능력에 따라 각기 다른 교육과 평가 잣대가 중요하다. 진로 체험 교육인 자유학기제는 긍정적인 제도지만 1년만으로는 부족하고 지속적인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핀란드 교육개혁자로 알려진 파시 살베리(Pasi Sahlberg) 핀란드 헬싱키대 교육학부 교수(사진)는 18일 서울 보라매동 대교타워에서 열린 '2016 글로벌 교육포럼'에 앞서 열린 미디어 그룹인터뷰에서 이 같이 말했다.
살베리 교수는 "핀란드와 한국을 포함, 모든 국가는 교육을 표준화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핀란드는 창의적이고 개별화된 방식을 중요시한다"며 "최근 글로벌교육은 HR(인적자원)에 대한 위기를 겪고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꿈이나 잠재성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일례로 최근 알파고 열풍과 관련, 코딩과 같은 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이것을 모든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가르칠 필요는 없다는 견해다.
교육과정에서 일종의 트랜드로 주목받는 분야는 달라지기 마련이고 다만 그 과정에서 기본적인 원리를 가르치되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집중적인 교육이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특히 올해 모든 중학교로 확대된 자유학기제와 관련해서는 지속적인 교육을 강조했다.
살베리 교수는 "1년에 2번 피트니트 센터를 간다고 건강해지지 않듯이 진로교육도 지속적인 게 중요하다"며 "자유학기제는 실험적이고 좋은 방향이지만 1년으로는 부족하고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고 전했다.
실제 핀란드에서는 자유학기제 방식을 전체 스쿨시스템에서 시행해 학교를 다니면서 학생들이 수시로 원하는 것을 배우면서 폭넓은 분야를 경험한다는 설명이다.
이어 과제와 경험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확대와 관련해서도 학생 개인별 특성을 강조했다.
그는 "예컨대 같은 c학점이라 해도 잠재성이나 지식에 비춰 평가해야한다"며 "다른 학생들에 대해서는 다르게 평가하는 각 학생별 고유한 평가를 위해 개인별로 다른 접근방식으로 평가를 한다"고 핀란드의 평가방식을 언급했다.
한국에서 평가의 객관성 문제가 논란이 되는 것과 관련해서는 교사들의 평가 교육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핀란드의 경우 교사들이 올바른 평가를 하기 위해 사범교육체계 안에 평가방법 교육이 포함돼있고 교사는 모두 석사 학위를 받도록 하는 등 교사가 평가 권한을 갖도록 제도화돼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핀란드는 과제를 하는 데도 학교 수업시간에 할 수 있는 것들을 하도록 해 단순한 문제풀이나 단순한 배껴쓰기가 되지 않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집에서 해야하는 숙제는 보다 고차원적이고 영감을 주는 것들로, 주변인들에게 정보를 얻어야하는 것들이라고 소개했다.
이날 포럼에서 살베리 교수는 '교육의 본질 변화: 성공적인 교육 시스템이 주는 교훈' 이라는 주제로 30여 년에 걸쳐 이룬 핀란드의 교육 개혁 과정과 함께 진로교육에 대한 강연을 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