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항 운영 '한진해운 사태' 현장 비상대응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9.04 10:15

수정 2016.09.04 10:15

국내 1위, 세계 7위 선사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사태로 인한 부산항 운영 차질에 따라 산업계, 화주들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부산항만공사(BPA·사장 우예종)는 한진해운 사태 여파가 국내외로 확산됨에 따라 지난 2일부터 부산항 운영 정상화를 위해 경영본부장, 국제물류사업단장을 단장으로 4개팀 37명으로 현장 비상대응체제에 들어갔다고 4일 밝혔다.

BPA는 8월초부터 채권단의 (주)한진해운 구조조정방안이 부산항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며 사장 주재 일일대책회의를 하다 법정관리가 결정된 지난달 31일부터 비상대책반을 구성, 비상점검체제를 가동해왔다.

지난 1일 발생한 한진신항만터미널(HJNC) 랫싱(고박작업) 거부사태를 중재했으나 신항 현장에서 선박 입출항과 하역작업 등을 전반적으로 지원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현장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했다.

신항 현장에 설치된 비상대응팀은 이해 관계자의 경영지원과 비용 문제 타개, 항만 관련업체별 경영 안정, 고용 불안 해소, 차질 없는 항만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고객들에게 실시간 알림, 현장 민원사항 즉시 처리, 업계·전문가·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체제 유지, 언론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한진해운 사태와 관련해 항만업계 애로사항 파악, 공유 등을 통한 조기 해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정책수립에 필요한 자료와 대안을 제시해 정책화 유도, 지원비 등 각종 소요예산의 비상대책본부 전결 처리로 운영 효율 극대화를 추진한다.

BPA는 중국, 일본, 유럽대표부를 통해 글로벌 해운시장, 화주, 부산항 환적화물 동향 등도 밀착 점검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선사들은 한진해운이 보유한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움직이는 것으로 BPA는 파악하고 있다.
중국 항만에서는 억류된 한진해운 선박 적재 컨테이너를 화주가 자기 비용으로 빼내려 해도 한진해운 물건이라는 이유로 하역을 거부당하고 있다. 중소 화주로부터 화물 운송의뢰를 받아 한진해운 선박에 화물을 적재한 포워딩 업체들도 선사와 화주 사이에서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BPA 현장비상대응팀은 세계 90여개 항만을 74개 노선으로 연결하고 있는 한진해운이 컨테이너 시장 점유율 7.8%로 세계 5위를 차지하고 있는 북미항로 상황을 실시간 체크, 부산항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편 조선사 구조조정 여파로 기자재업체들이 큰 어려움을 겪는 부산은 한진해운 법정관리 신청으로 항만물류산업이 직격탄을 맞게 돼 지역경제를 버티는 양대 축이 동시에 위기에 처했다.
이번 한진해운 사태로 부산항 물동량이 대거 외국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한진해운이 부산항에서 처리하는 물동량은 연간 20피트 기준 180만개에 이르는 상황에서 최대 160만개의 물량이 이탈하면 부산항에서 연간 1100억원 이상 부가가치가 사라진다.
고스란히 연관산업의 매출감소, 실업으로 이어져 2000명 이상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분석된다.

roh12340@fnnews.com 노주섭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