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글로벌 ICT 기업 서열이 바뀌고 있다…통신-하드웨어 지고, 플랫폼-콘텐츠 급부상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9.06 16:47

수정 2016.09.06 16:57

中 텐센트, 차이나모바일·삼성전자 제치고 아시아 시총 1위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의 서열이 재편되고 있다. 막대한 초기 투자비를 들여 통신망을 깔고 요금으로 수익을 올리던 통신사업자나 하드웨어 제조업체들이 상위 서열에서 점차 밀려나고, 음악·동영상·게임 등 콘텐츠 기업과 메신저 등 전 세계 수백만의 사용자를 확보한 뒤 그 위에 자율주행차,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서비스를 유동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플랫폼 사업자들이 글로벌 최강기업 자리를 꿰차고 있다.

글로벌 ICT 기업들의 서열 재편에 맞춰 국내에서도 통신 서비스, 하드웨어 기업 중심으로 유지되고 있는 ICT 산업구조와 정부 정책을 재편해야 한다는 조언이 잇따르고 있다.

■텐센트,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 진입
블룸버그 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5일(현지시간) 홍콩 증시에서 텐센트는 주가가 4.2% 가량 오르면서 시가총액이 2566억 달러(약 283조3890억 원)로 늘어났다. 이로써 텐센트는 중국을 비롯해 아시아 기업 부문에서 시가총액 1위를 유지했던 차이나모바일(2540억 달러)을 넘어섰다. 또 텐센트는 애플, 구글(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페이스북, 아마존 등 정보통신기술(ICT) 공룡들과 함께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 대열에 합류했다.


신흥 콘텐츠 기업인 텐센트가 세계 최대 이동통신회사인 차이나모바일 보다 높은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앞서 텐센트는 2·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50% 가량 급증한 약 6조 원에 이른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주가가 고공행진을 펼치면서 중국 현지 경쟁업체인 알리바바와 바이두 등은 물론 국유기업인 차이나모바일과 삼성전자까지 제치고 ‘아시아 ICT 제왕’으로 거듭난 것이다.

블룸버그는 “중국 ICT기업이 고용 창출과 경제구조 개혁 부문에서 중심축 역할을 하면서 국가 체질을 소비 주도형으로 바꾸고 있다”고 분석했다. 즉 1998년에 출범한 텐센트가 약 18년 만에 ICT 거물로 자리매김한 것은 중국 내 굴뚝 산업이 저물고 인터넷과 모바일 기반의 전자상거래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거대 인프라보다 모바일 플랫폼 강자가 시장 주도
글로벌 시가 총액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애플도 단순한 아이폰 제조 보다는 앱스토어를 중심으로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결합하는 플랫폼 기업이다. 애플과 글로벌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놓고 옆치락 뒷치락을 반복하고 있는 구글은 세계 최대의 플랫폼 기업이다.

국내 상황도 마찬가지다. ‘차이나모바일과 텐센트’ 사례와 마찬가지로, 네이버가 이미 국내 최대 통신회사인 KT와 SK텔레콤의 시가총액을 넘어섰다. 국내 최대 인터넷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네이버가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와 쇼핑, 메신저 등 서비스를 결합하면서 검색 및 스마트카·스마트홈 형태의 플랫폼 사업으로 통신회사들보다 높은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실제 텐센트는 게임과 자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큐큐(QQ)’, 모바일 메신저 ‘위챗’ 등을 통해 이용자를 늘리면서 온라인 광고와 전자상거래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 역시 텐센트와 유사한 형태로 모바일 플랫폼 사업을 진화시키며 국내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하드웨어(HW) 등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기존 업체들의 ‘디지털 변혁’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미 테슬라(자율주행 기반 전기자동차)와 우버(차량공유), 알리바바(핀테크) 등이 각 분야에서 전통 강자들을 위협하며 '파괴적 혁신'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윤종록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은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기업들은 소프트웨어(SW)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산업과 융합된 서비스를 내놓는 기업들”이라며 “ICT와 제조업이 탄탄한 우리나라도 SW를 통해 이 둘을 결합하는 플팻폼 기업을 육성해야 성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이병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