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잇단 악재 속 韓 경제 물류 대동맥 단절 위기.... 항만 운영 차질 우려 해수부 '발등에 불'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10.06 14:20

수정 2016.10.06 14:20

한진해운발 물류대란이 수습되기전 철도노조에 이어 화물연대까지 총파업을 예고되면서 한국 경제의 물류 대동맥이 단절될 위기에 놓였다.

당장 해운 물류 관련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한진해운발 물류대란으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화물연대 마저 파업을 예고하면서 항만 화물 운송에 비상이 걸린 것이다. 해상 물류는 물론 육상 항만 물류 운송까지 차질이 우려되면서 정부 역시 대책 마련이 부심한 모습이다.

■물류대란 속 잇단 파업 국가 경제 '흔들'
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오는 10일 0시부터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로 물류대란이 우려되면서 정부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정부는 우선 이날 윤학배 해수부 차관 주재로 정부세종청사에서 지방해양수산청, 항만공사, 한국항만물류협회, 한국선주협회 등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고, 기관별 대응사항을 사전 점검했다.


윤 차관은 이 자리에서 "최근 한진해운 사태와 철도파업 장기화 등으로 물류수송에 차질이 발생하고, 터미널 장치율도 평소 대비 상승돼 있는 상태"라며 "화물연대가 집단운송 거부에 돌입할 경우 수출입 화물 수송 등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는 항만 야드 트랙터의 도로운송 허용, 군 컨테이너 차량 수요 파악, 연안해운 수송방안 검토 등 대체운송수단을 확충하기로 했다.

또 위기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될 경우 해수부 차관을 본부장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가 24시간 가동되고, 각 지방청별로 비상대책본부를 운영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관련 매뉴얼에 따라 수입화물 및 장기적체 화물의 조기 반출 독려, 외부 임시장치장 확보 등의 조치를 취한 바 있다.

■물류 피해 최소화 정부, 비상수송대책 마련
정부는 물류 피해 최소화를 위해 해수부·산업부·국방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 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화물연대의 운송방해·점거 등 행위가 예상되는 항만과 컨테이너기지(ICD), 고속도로 요금소 등 중요 물류거점에는 경찰력을 사전에 배치한다.

수송력 증강을 위해 군 위탁 컨테이너 차량을 투입하고 자가용 화물차의 유상운송을 즉시 허용하는 한편 화물연대에 가입하지 않은 운휴차량을 활용할 방침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집단 운송거부 돌입 시 관계부처, 터미널 운영사, 운송사간 협력 체제를 긴밀히 운영해 우리 항만이 정상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철도노조에 이어 화물연대가 10일 0시부터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화물연대본부는 전날 서울 정동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교통부가 8월 발표한 '화물운송시장 발전방안' 등에 반대하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모든 조합원은 8일까지 화물운송 업무를 마무리하고 10일부터 화물의 상·하차를 일절 거부할 계획이다.
이어 투쟁본부의 복귀지침이 있을 때까지 화물운송에 나서지 않기로 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