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 "체세포 아닌 단성생식"
줄기세포 연구.치료 활성화
황우석 박사의 '1번 배아줄기세포(NT-1)'가 약 6년간의 비윤리적 행위 논란 끝에 국가 배아줄기세포로 정식 등록된다. 이에 따라 그동안 사실상 중단됐언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재개되고 배아줄기세포 기술을 할용한 치료도 활기를 띨 전망이다.
줄기세포 연구.치료 활성화
질병관리본부는 황우석 박사의 배아줄기세포 'NT-1'이 체세포복제방식이 아닌 단성생식(처녀생식)으로 우연히 만들어진 산물로 결론짓고 이번주 중 국가 배아줄기세포로 정식 등록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2010년 제정된 생명윤리법에 따라 연구기관이나 연구자가 배아줄기세포를 연구하려면 질병관리본부에 등록해야 한다.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는 핵이 제거된 난자에 피부세포 등 체세포의 핵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수립한 줄기세포를 말한다.
체세포복제나 단성생식으로 수립된 배아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와 마찬가지로 다른 장기나 인체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다. 그동안 질병관리본부는 황 박사 측이 NT-1이 체세포복제방식으로 만든 배아줄기세포주라고 주장하며 등록해 달라고 증거로 제시한 관련 자료들과 추가 증빙 자료들을 내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검증위원회에서 검증작업을 벌여왔다. 그 결과 NT-1이 배아줄기세포는 분명하지만 체세포복제방식으로 확립된 배아줄기세포라고 볼 만한 과학적 증거는 없는 것으로 나왔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설명했다.
홍석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