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잘 된 공공디자인이 도시 경쟁력을 높인다 (12) 경기 고양시 화전역 지하보도] 슬럼화 된 지하보도가 주민 사랑방으로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1.02 17:24

수정 2017.01.02 17:24

Zone A·B·C 세유형 분류.. 어두운 입구에 조형물 설치, 북카페 등 휴식공간 마련
화전동에 대한 사진과 초등학생들이 그린 그림을 전시한 화전역 지하보도 에이(A)-존(zone)
화전동에 대한 사진과 초등학생들이 그린 그림을 전시한 화전역 지하보도 에이(A)-존(zone)

1980년대 차량 중심의 도시구조에서 보행자가 안전하게 길을 건널 수 있는 목적으로 도심 곳곳에 건설된 지하보도는 요즘들어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줄고 이로인해 지역 슬럼화를 부르는 시설물로 전락했습니다.

화전 갤러리와 북가페로 가는 통로
화전 갤러리와 북가페로 가는 통로

경기 고양시는 낙후돼 가는 화전역 지하보도에 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을 벌였습니다. 지하보도공간을 크게 'Zone A.B.C' 세 유형으로 분류해 에이(A)-존(zone)에는 삭막하고 어두운 입구에 행글라이더 형태의 조형물을 설치했습니다. 또 벽면정리와 조도개선을 통해 쾌적한 입구를 만들고 통로에는 화전동에 대한 사진과 초등학생들이 그린 그림을 전시했습니다.

비(B)-zone에는 주민공동체가 운영할 수 있는 '화전북카페'와 '화전담소'라는 휴식공간을 마련했습니다.



씨(C)-zone은 항공대 학생들과 주민들이 항공대로 가기 위해 사용되는 통로를 갤러리 형태로 구성하고 계단형식의 입구에는 자전거 이동레일과 계단 논슬립을 설치해 유니버셜 디자인을 중심으로 설계했습니다.

[잘 된 공공디자인이 도시 경쟁력을 높인다 (12) 경기 고양시 화전역 지하보도] 슬럼화 된 지하보도가 주민 사랑방으로

고양시청 도시재생과 경관디자인팀 강봉규 주무관(사진.romi0707@korea.kr)은 "이 사업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니버셜 디자인의 형태를 채택해 계단 구간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이동레일 등을 설치한 것도 특징"이라며 "주민참여, 심미적 측면, 기능적 측면 등 세 가지 요소를 조화롭게 재구성한 성공적인 공공디자인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규상 한국공공디자인학회장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