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주춤했던 해외직구, 다시 기지개

김원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1.19 09:12

수정 2017.01.19 09:12

【대전=김원준 기자】한 때 주춤했던 해외직구수입이 지난해에는 중국·유럽발 직구수요가 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관세청은 지난해 해외직구 수입액이 1739만5000건에 16억3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건수로는 10%, 금액으로는 7% 각각 늘었다고 19일 밝혔다. 반면 지난해 전체 수입규모(4061억 달러)는 전년대비 7% 감소했다.

해외직구가 상승세로 전환된 것은 중국·유럽 등으로 직구시장이 다변화된데다 국내물가 상승에 따라 합리적 소비가 늘고 있고 소비 성향도 다양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가별 직구 수입액은 미국이 65%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비중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반면 유럽의 비중(15%)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2015년 감소했던 중국의 비중도 지난해에는 8%로 전년 대비 3%포인트 증가했다.


미국은 지난해 전년 대비 반입건수 기준 3%, 수입금액 기준으로는 4% 각각 줄었으나 중국과 유럽 등은 건수 및 금액 모두 전년 대비 큰폭으로 증가해 미국 중심의 직구시장이 유럽과 중국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발 해외직구가 급증한 것은 일상 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보조 배터리 등 소형 전기용품과 완구류가 2015년 8만4000건에서 지난해 6배 이상 증가한 51만4000건 반입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품목별로는 2015년에 이어 지난해도 건강식품(20%)이 가장 많이 수입됐고 화장품(16%), 기타식품(14%), 의류(12%), 신발(8%), 전자제품(7%) 순으로 이들 품목이 전체의 약 75%를 차지했다. 그간 해외직구수입의 주요 품목인 의류·신발·핸드백은 10%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에서 구매하던 전자제품이 중국 기술력 발달 및 가격경쟁력의 영향 등으로 수요가 증가했고 건강과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 변화로 건강식품·화장품 반입도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별 주요 반입 품목은, 미국에서는 건강식품(27%), 유럽에서는 화장품(33%), 중국에서는 전자제품(23%), 일본에서는 캔디, 초콜릿 등 기타식품(14%)이다.

한편 관세청과 한국소비자원은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해외직구 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피해사례 예방을 위해 ‘해외직구 피해예방 체크포인트’를 관세청 홈페이지한국소비자원 국제거래 소비자포털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다.


관세청 관계자는 "올해에도 해외직구물품의 신속·정확한 통관을 지원할 것"이라면서 "그러나 마약류 및 국민안전 저해 불법물품 반입 차단을 위한 검사는 강화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