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은퇴 앞둔 가구 부채 증가, 투자도 금융보단 ‘부동산’

전용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7.03 17:23

수정 2017.07.03 17:23

한경연, 소비절벽 보고서
55세 이상 부동산 자산 급증.. 14년새 부채도 134% 늘어 상환 대신 자산증식에 사용.. 은퇴해도 소비위축은 미미
은퇴 전후 가구도 금융자산보다는 부동산자산을 늘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은퇴가구의 부채도 줄어들기보다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3일 '은퇴 전후 고령세대의 자산.부채로 살펴본 한국의 소비절벽 실현가능성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은퇴를 앞둔 연령대인 55세 이상 가구주가 속한 가구를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소득과 소비, 저축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은 2001년 대비 2015년 94.51% 상승하고 소비는 90.51% 늘었다.

한경연은 "분석 결과 부채 증가를 통한 자산증식 효과가 더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부채 보유나 부채 규모가 직접적으로 유동성 제약을 야기해 소비규모를 위축시키지 않는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저축이 78.32% 증가한 것으로 보아 결국 소득증가분이 자산 축적으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자산규모를 보면 2001년 대비 2015년 거주 주택자산과 거주 외 주택자산은 각각 157.35%, 126.44% 증가했다. 하지만 금융자산은 증가율이 98.3%에 불과해 부동산으로 자금유입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채는 꾸준히 증가해 2001년 대비 2015년 약 133.98% 증가율을 보였다. 부채 상환액은 2015년의 경우 2001년보다 금액 자체는 늘었지만 시계열적 추이를 보면 변동성이 커 금융위기 이전과 현재의 상환액 수준 차이가 크지 않았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부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상환에 대한 크기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은 현재 가구가 부채 증가를 통한 자산 증식을 도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레버리지 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 부채 보유가구 비중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볼 때 한국 경제에서 우려하고 있는 가계부채의 총량적 이슈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여전히 가계부채의 총량적 측면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사실이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만큼 총량적 관점에서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금리가 인상될 경우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상환액이 과도하게 높지 않고 오히려 부채가 증가하는 만큼 자산규모도 확대되는 것으로 볼 때 금리인상이 급격한 소비위축을 가져올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은퇴 여부에 따른 소비규모 변화에 있어서는 은퇴 자체가 소비를 크게 위축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의 연령이 은퇴를 앞둔 55세 이상인 가구의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소득과 소비구조를 분석한 결과 은퇴 자체가 소비를 크게 위축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았고, 소비규모보다 소비지출 패턴 변화를 야기했다.
분석에 따르면 자산효과에 의해 은퇴 이후 자산규모가 더욱 커지면서 은퇴 전까지 지출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자녀교육과 노후 대비 연금.보험 지출이 줄어들고 여가생활과 건강관리 분야로 소비가 이동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courage@fnnews.com 전용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