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유동성 위기설' KAI, 첫 전단채 500억원 발행 개시

김현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9.23 13:42

수정 2017.09.23 13:54

분식회계와 방산 비리 의혹 등으로 유동성 위기설에 휘말린 한국한공우주(이하 KAI)가 전자단기사채 발행을 개시했다.

그간 시장에서 공모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조달을 한 KAI는 전단채 외에도 사모채,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등 조달처를 다양화하려는 작업을 시작했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KAI는 이달 22일 전자단기사채 5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KAI의 전단채 발행은 처음이다.

전단채는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자금을 종이가 아닌 '전자' 방식으로 발행하는 금융상품으로 기업어음(CP)에 비해 발행과 유통절차가 간소하다.

시장에선 KAI의 유동성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조달처 확보 노력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한국항공우주는 지난 15일 전단채 발행 한도를 3500억원까지 늘리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와 함께 사모사채 1500억원, 자산유동화증권(ABS) 2000억원까지 차입 한도를 늘렸다.

KAI의 무보증회사채 신용등급은 AA-으로 비교적 우량한데다 국내 유일의 항공기 제조업체라는 특수성으로 공모 시장에서 회사채 조달에 어려움이 없었다. CP발행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최근 분식회계, 방산비리 의혹 등 각종 비리에 휩싸이면서 차환리스크가 대두됐다.

올해 만기일이 돌아오는 회사채는 없지만 만기를 맞는 CP는 2900억원 규모다. 시설대출 800억원까지 포함하면 올해 내 약 4000억원 규모의 차입금에 대한 현금상환, 차환 부담이 존재한다. KAI의 현금성 자산은 6월 말 기준 236억원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KAI 수리온 등 관련 사업이 계속 지연되면 유동성 위기설이 현실화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21일 보고서를 통해 KAI의 단기신용등급을 A1으로 평가하고 등급하향검토 감시대상 등록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최중기 나신평 연구원은 "KAI는 수리온 사업 관련 지연배상금 충당부채 적립 등 주요 프로젝트 수행 차질로 인해 올해 상반기 영업적자를 기록했다"며 "영업실적의 회복이 지연되거나 운전자금 부담이 확대하면서 재무안정성의 저하가 나타날 가능성을 등급평가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KAI는 정부(방위사업청)와 납품 재개를 협의 중이나 현재까지는 납품 지연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올해 3분기 내 납품 재개가 되지 않을 경우 추가적인 지연 배상금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라크 T-50 수출건 관련 확대된 운전자금도 부담요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회사는 검찰 수사 장기화로 유동성이 나빠졌다며 이달부터 임원(상무보 이상 직급) 전원에 대한 9월 급여 지급을 보류하고 다음달 임원 급여도 20% 정도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
이어 업무추진비도 30% 삭감하고 상생협력 차원에서 경남지역 협력업체에 현금으로 결제하던 대금도 어음으로 바꿨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