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김장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0.31 13:40

수정 2017.10.31 13:40

대구를 넘어 전세계인의 유산으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이 대구를 넘어 전세계인의 유산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대구시는 유네스코 본부가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최종 등재 결정했다고 10월 31일 밝혔다.

이번 등재로 시는 지역 최초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됐을 뿐만 아니라 시민주간 선포 등으로 강조해오던 대구시민의 자긍심을 한껏 드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일본의 경제주권 침탈에 대응, 나랏빚 1300만원을 갚기 위해 빈부귀천, 남녀노소, 도시농촌, 종교사상을 뛰어넘어 전 국민이 참여한 경제주권 회복운동이다.

이 운동은 지역적으로 대구에서 시작, 전국으로 확산된 최초의 시민운동이라는 점, 국가적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기부문화운동이자 여성·학생운동, 언론캠페인운동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높다.

또 대외적으로도 국가의 부채를 국민이 대신 갚고자한 운동은 세계사적으로 유래가 전무하다는 점에서 그 독창성과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제13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도 국채보상운동이 19세기 말 제국주의 열강에 대응, 가장 앞선 시기에 범국민기부운동을 바탕으로 나랏빚을 갚고자 한 국권수호운동이라 점을 높이 평가했다.

또 국채보상운동이 발생한 이후 중국·멕시코·베트남 등 타 국가에서 유사한 외채상환운동이 일어났다는 점도 강조됐다.

특히 국채보상운동은 오늘날까지 그 정신이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으며, 경제 위기에 직면한 국가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앞으로 시는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념하기 위해 내달중 대시민 보고회 및 비전발표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과 연계, 정부와 국채보상운동 정신의 세계화를 위한 밑그림도 본격적으로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계기로 시민들이 대구시민으로서의 긍지와 자부심을 더욱 높아나가기를 희망한다"면서 "전 세계인들과 국채보상운동 정신을 함께 공유, '글로벌 문화도시 대구' 브랜드를 제고하는데 모든 지혜와 역량을 모아나가겠다"고 말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