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 성남지청과 이노비즈협회는 2017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2일 밝혔다.
이노비즈협회는 2017년 12월 28일을 기준으로 총 3624명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2일 밝혔다. 특히 수도권을 담당하고 있는 본회 기준으로는 총 2230명의 청년층 채용 연계를 통해 전국 청년내일채움공제 운영기관 중 단일 기관으로는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2009년 이후 9년 연속 전국 최대 규모(청년인턴제 포함)의 사업 운영 실적이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근로자와 기업 그리고 정부가 2년간 공동으로 붓는 적금과 같은 개념이다.
성명기 이노비즈협회 회장( 사진)은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은 청년이 단순 기능직이 아닌 R&D 기술인력으로써 근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핵심인력으로 성장해 스케일업 기업의 직접적인 성장동력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사업의 지속적인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협회는 그동안 이노비즈기업 1만8000여개사를 포함해 취업하고 싶은 기업, 청년친화 강소기업 등 우량기업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서 청년층 신규 채용을 지원해왔다. 특히 지난해엔 전국 마이스터고와의 양해각서(MOU), 특성화고 인력공동 협의회 등을 통해 이노비즈기업 맞춤형 기술인력 DB를 구축하는데 주력, 기업과 구직자 간 상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업의 내실을 다지고자 노력했다.
이노비즈협회 소속 청년내일채움공제 참여기업(본회 기준 654개사)은 업종별로 '제조업'이 44%로 가장 많았고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20%), 엔지니어링 및 과학기술 등의 '서비스업'(13%) 등의 순이었다. 취업자의 직무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16%로 가장 많았고 '전자부품 개발 및 설계 기술자'(13%) 등이 뒤를 이었다. 인턴 평균 약정임금은 월 172만원(각종 수당 및 상여금 제외)으로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금(개인 1600만원)을 고려하면 연봉 2864만원 수준이다. 이는 일반 중소제조업 전체 근로자 평균 연봉(기본급 기준 2232만원, 2017년 중소제조업 임금실태조사)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2018년 청년 신규채용 및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에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 및 구직자는 이노비즈 일자리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사업내용 확인 후 온라인 신청을 하면 된다.
yutoo@fnnews.com 최영희 중소기업전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