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0일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관련, "어느 정도 성과가 담보된다면 언제든 정상회담에 응할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현 단계에선 개성공단, 금강산 등 대북 독자제재를 완화할 생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또 "오로지 대화만이 해법은 아니다" "회담을 위한 회담이 목표일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내외신 신년기자회견에서 북한 문제, 한.일 관계, 경제 문제, 개헌 등 전 분야에 걸친 새해 구상을 제시했다. 대북정책에 대해선 섣부른 예단보다는 제재와 압박 기조를 지속하면서 대화를 병행하는 '투트랙' 기조를 견지할 것임을 시사했다.
경제정책에 대해선 신년사 맨 앞머리에 배치, 집권 2년차 국정목표인 '국민의 삶의 질 개선'에 본격 나서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파이낸셜뉴스 오늘의 1면] "청년일자리 국가 과제로 삼겠다" 外](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18/01/11/201801110754262377_l.jpg)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