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광물자원공사, 정부 입장 밝히는 게 유동성 문제 해결의 시작 <DB금투>

장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1.11 10:10

수정 2018.01.11 10:10

DB투자증권은 11일 "한국광물자원공사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밝히는 게 유동성 문제 해결의 시작"이라고 진단했다.

박정호 연구원은 "유동성 문제가 발생한 경우 공기업 자체적으로 해결할 능력과 수단이 부족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박 연구원은 "그 동안 정부의 지원가능성을 믿고 채권에 투자한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사업운영에 관해 명령할 수 있는 정부가 나서라는 목소리가 높다"고 지적했다.

그는 "광물공사는 공사법 개정을 재추진하고, 남아있는 사채발행한도와 정책금융 활용, 개발 중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수익의 유동화, 우량 프로젝트 투자 지분을 담보로 한 차입 등 유동성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투자자들의 우려를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광물공사의 유동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만기도래 채권의 원활한 차환이 필수적이고, 채권의 차환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광물공사에 대한 정부의 지원의지에 대해 투자자들이 신뢰를 가질 수 있는지 여부"라고 밝혔다.

그는 "이는 광물공사 채권가격의 안정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며 "국내 모든 공기업들은 정부의 지원가능성이 반영돼 펀더멘털에 비해 높은 신용등급을 부여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자체신용도(standalone credit profile)를 공개하는 글로벌 평가사 중 하나인 S&P 기준으로, 국내 공기업의 최종신용등급은 자체신용도 대비 적게는 5 notch에서 많게는 10 notch 높게 평가받고 있다"면서 "광물공사는 자체신용도b+ 대비 8 notch 높은 A등급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리측면에서는 유사 업종의 비슷한 재무구조를 가진 일반 기업에 비해 작은 위험 프리미엄(낮은 신용스프레드)이 가산됨에 따라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는 등 민간 기업에 비해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 유동성 문제가 발생한 경우 공기업 자체적으로 해결할 능력과 수단이 부족한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말 광물자원공사의 수권자본금을 2조원에서 3조원으로 늘리는 방안이 국회에서 부결된 바 있다.

taeminchang@fnnews.com 장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