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우디아라비아가 반부패 수사로 연말까지 500억리야드(약 14조5000억원)를 거둬들일 것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1일(현지시간) 정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사우디 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반부패 수사로 구금됐던 수백명에 이르는 사우디 왕자들, 갑부들이 풀려나는 대가로 정부에 내기로 한 석방합의금 가운데 일부는 이미 납부됐고, 앞으로 더 많은 합의가 있을 것이어서 그 액수는 크게 늘어난다.
합의금은 예금 등 현금 뿐만 아니라 부동산, 기업 지분 등이 포함된다.
사우디 최대 건설업체로 탈레반 지도자였던 오사마 빈 라덴 집안이 소유한 사우디빈라딘그룹과 중동 최대 TV 방송국인 중동방송사(MEBC) 등 사우디 주요 기업 지분이 정부에 넘어간다.
이 관계자는 "연말까지 500억리야드가 걷힐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디 검찰총장은 지난달말 반부패 수사로 국가가 거둬들일 합의금이 107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사우디는 왕위 계승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해 지난해 11월 대대적인 부패수사에 들어가 세계 금융계의 큰 손 알 왈리드 빈 탈랄 왕자를 비롯해 수백명의 왕자들과 전 고위 관리, 기업주들을 수도 리야드의 리츠칼튼 호텔에 구금했다.
이들이 막대한 합의금을 내고 풀려나면서 호텔은 11일부터 영업이 재개됐다. 사우디 정부는 합의금으로 거둬들이는 모든 자산은 매각해 중앙은행의 정부 계정에 국고로 집어넣을 예정이다. 그러나 일시에 막대한 물량이 쏟아질 경우의 시장 충격이나, 헐값 매각을 피하기 위해 서두르지는 않는다는 방침이다.
사우디 정부 관계자는 시간을 갖고 천천히 매각해야 한다면서 "시장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유동화는 신중히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국고, 부채 지불능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매각을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면서 헐값 매각을 경계했다.
한편 무함마드 왕세자의 반부패 조사는 오랜 부패에 염증을 느낀 상당수 사우디 국민들의 환영을 받았지만 왕위 계승 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 위한 정치적 노림수이자 국가 재정도 확보하는 양수겸장이라는 의혹도 있다.
또 사우디 국내 기업심리를 위축시켰고, 외국인 투자자들을 당혹스럽게 만들기도 했다고 FT는 전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