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슈퍼마켓 같은 도서관...부산, 21세기형 도서관 문화 확산

권병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26 09:30

수정 2018.03.26 13:44

부산시가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책과 가까이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부산시는 '슈퍼라이브러리'라는 개념을 도입한 '21세기형 도서관 및 독서문화 정책 강화 계획'을 수립해 26일 발표했다.

슈퍼라이브러리는 편한 옷차림으로 동네 앞 슈퍼마켓 드나들 듯 자주 들러 정보와 지식을 찾는 것은 물론이고 사람들과 소통하며 즐겁게 놀 수 있는 일상적, 복합적 공간의 도서관을 말한다.

이번 정책은 내년 말 준공 예정인 부산도서관의 개관에 대비해 도서관 체계를 정비하고 도서관을 슈퍼마켓과 같은 친근한 공간으로 완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13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15명 이내 전문위원(위원장 포함)으로 구성된 '도서관정보서비스위원회'를 구성·운영한다.
도서관법 제 24조에 따라 지역도서관의 균형발전과 도서관 육성에 관한 주요 사항 심의를 위해 도서관정보서비스위원회를 발족하고, 4월 중 첫 위원회를 연다.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처음으로 '거점도서관'도 지정한다.

구·군별로 한 곳씩 운영하는 거점도서관은 광역단위 대표도서관인 부산도서관과 읍·면·동 기초생활권역의 작은도서관과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잇는 가교 역할을 맡게 된다.

도서관을 동네 슈퍼마켓, 집안 거실처럼 친근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도서관을 리모델링 한다.

지난 16일 개관한 인문학도서관 등 올해 총 4개 도서관을 슈퍼라이브러리로 개관하고, 연제도서관을 시작으로 30년 이상 된 낡은 도서관을 리모델링하는 등 2025년까지 29개 공공도서관을 확충한다.

책 읽는 도시 기반 조성을 위해선 2020년까지 430개의 작은도서관을 확충한다. 현재 4개의 도시철도역에 있는 북하우스를 한국철도공사, 부산도시공사 등과 연계해 시민들이 즐겨찾는 독서공간으로 꾸민다.

2019년 전국도서관대회 개최, 2022년 세계도서관 정보대회 유치, 정보공유·문화연대 위한 국제교류확대 등을 통해 부산 독서의 미래 지속적인 발전도 이끌 계획이다.

이 밖에 독서동아리 발굴, 독서우수 직장 인증제 도입, 서점 활성화를 위한 지역서점 전수조사, 지역서점 희망도서 바로대출제, 공공도서관의 지역서점 도서구매실적 평가 등 지역 독서 생태계 발전을 위한 각종 사업을 추진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정책은 부산도서관, 국회도서관 분관 개관에 대비하는 한편 도서관과 독서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일상 생활 가까이에서 책을 접하고 지식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책 읽는 여건을 만들어 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