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헬스 레저

지역발전의 새로운 동력, 지역 관광 육성에서 찾는다

조용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7.11 14:00

수정 2018.07.11 14:00


국제적인 지역관광 거점 조성
국제적인 지역관광 거점 조성

정부가 비무장지대(DMZ)를 평화관광 거점으로 육성하고 명품숲 50선을 발굴하는 한편 오버투어리즘에 따른 관광객·주민 갈등을 최소화 등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또 마리나 선박 정비업을 신설하고 어촌·어항을 관광 거점으로 조성하며 해양레저스포츠 체험 기회 확대 및 안전 레저환경 조성 등을 통한 해양레저관광 활성화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2차 국가관광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243개의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을 영상회의로 연결해 지자체와 함께 지역관광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강원도’와 ‘여수’의 지역관광 활성화 사례를 공유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2017년 12월 18일 제1차 회의에서 발표한 관광진흥기본계획의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과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추진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 관계자는 “고용지표 악화, 지역 기반 산업 침체 등 지역경제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지역 경제 회복과 관광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내실 있는 지역관광정책 추진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관광산업이 실질적으로 지역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도록 2017년 12월 발표한 관광진흥기본계획을 심화시켜 지역관광 거점 육성, 해양관광 등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지역주도 관광산업
지역주도 관광산업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최근 국내여행 증가, 방한시장 회복 등 관광시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그 효과가 아직까지는 지역으로까지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지역의 관광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합적 관점의 지원, 지역이 중심이 되는 ‘지역주도형' 관광정책 추진을 통해 관광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관광객이 서울, 경기뿐만 아니라, 여러 지역을 방문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국제적인 지역관광 거점을 육성한다. 남북정상회담 등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세계 유일의 생태·역사문화 자원인 DMZ를 ‘평화관광거점’으로 육성하고 DMZ 문화관광축제, 걷기여행길 조성 등을 통해 세계인이 널리 찾는 평화관광지로 브랜드화한다.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개최지 명성을 활용한 올림픽 연계 관광상품 개발 및 해외 전지훈련단 유치 등을 통해 강원지역을 ‘겨울·스포츠 관광 거점’으로 육성한다. 교통, 콘텐츠가 집적된 핵심도시를 관광전략 거점도시로 육성하고,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 등 고부가산업과 지역 관광자원을 연계해 지역관광 수익성을 높인다.

섬·바다·갯벌 등 다양한 잠재력을 가진 해양관광자원을 활용해 내외국인 관광객이 즐겨 찾는 관광섬을 육성하고 서남해안 스마트시티형 관광레저도시 조성, ‘남해안 관광루트’ 등을 조성한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명품숲 50선 발굴, 새로운 생태관광지 지정 등농촌·숲·산림을 활용한 생태·휴양·체험 관광지를 개발한다.

역사·문화 등을 활용, 한국만의 고급 관광소재 ‘코리아 유니크(Korea Unique)'를 발굴하고, 세계적인 지역 문화관광축제를 육성하는 한편, ’우리 동네 명소 찾기‘ 등 일상의 삶을 관광자원화한다.

지자체가 필요한 사업을 주도적으로 발굴·계획하고 중앙정부는 단계별 지원·컨설팅을 실시하는 ‘계획공모형 관광개발’ 방식을 도입한다. 지자체와 주민·업계를 아우르는 지역관광추진기구 설립도 지원한다. 지역에 있는 관광벤처를 확대하기 위해 지역소재 청년기업 선발 시 가점을 부여하고 해양벤처 등 분야별 벤처창업도 확대한다.

지역특화 콘텐츠 확충
지역특화 콘텐츠 확충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추진

정부는 ‘즐거움이 있는 바다, 바다가 있는 삶’을 비전으로 ‘해양레저관광활성화 추진계획’을 마련해 모든 국민이 해양레저관광을 향유할 수 있도록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시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마리나 선박 정비업을 신설하고, 신규 마리나 창업자에게 부담이 되는 의무보험료를 인하하는 등 창업촉진에 기여한다. 대만과 홍콩 등으로 크루즈 시장을 다변화하고 국내 크루즈 수요를 20만 명까지 확대하는 등 크루즈 산업의 체질을 개선한다.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에 걸맞은 어촌의 혁신성장을 위해 300개의 어촌과 어항을 현대화하는 ‘어촌뉴딜 300’ 사업을 추진, 어촌·어항 관광 거점을 조성하고 낙후된 시설을 현대화한다.


요트, 카약 등 해양레저기구 체험 관광 거점으로 해양관광복합지구를 조성하고 섬, 해수욕장 등 육·해상 해양관광자원이 연계된 해상관광길 ‘바다로(路)’를 개발해 해양관광 접근성을 높인다. 이외에도 요트, 카누 등 대중적인 해양레저스포츠기구의 체험기회를 제공하는 해양레저스포츠 체험교실을 확대한다.
생존수영교실 운영을 확대하고 낚싯배 안전기준을 강화하는 등 안전한 해양레저 환경을 조성키로 했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