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난청 질환, 국가가 나서서 생애 전주기 관리 지원 필요

정명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9.12 17:54

수정 2018.09.12 17:54

난청 질환, 국가가 나서서 생애 전주기 관리 지원 필요


난청 질환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인 관리체계를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인구의 고령화, 소음에 의한 난청 등 전 연령대에 걸쳐 난청이 발생하고 있지만 현재 예방과 치료, 재활이 잘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는 자유한국당 박인숙 의원과 12일 오후 1시30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2018 난청 없는 사회를 위한 시작'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전 세계적으로 특히 한국에서 인구의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노령 인구가 늘어감에 따라서 노화성 난청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의 약 30%에서 노화성 난청을 보인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에 따르면 난청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2년 27만 7000명에서 2017년 34만 9000명으로 연평균 4.8%씩 증가하고 있다. 20대 미만의 영유아, 어린이 및 청소년 난청 진료 1인당 진료비도 2012년 60만 3715원이었던 것이 2017년에는 약 43% 늘어난 86만 2420원으로 상승했다.

이러한 난청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력보건에 관한 교육과 청력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 및 치료 등이 필수적이지만,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 박상호 정책이사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난청의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할 주요한 과제의 하나로 선정하고 세계 모든 나라에서 국가의 주도로 난청의 예방, 조기발견, 치료 혹은 재활을 추진하도록 권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력은 태어난 이후부터 다양한 이유로 나빠진다. 특히 한번 나빠지면 다시 회복시키기 불가능 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후천적으로 청력이 손실되는 위험요소들은 노화, 소음노출, 당뇨, 흡연, 항암제, 항암방사선치료, 신장기능이상, 선택적인 항생제, 반복적인 중이염 등이 있다. 이 중 위험을 감수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으나 피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정종우 교수(전 대한청각학회 회장)는 "청력이상에 대한 접근법은 예방, 확인, 치료, 재활이 주된 방법"이라며 "이 중 치료적인 접근법은 개개인에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방은 개인적인 예방, 학교, 직장과 같은 국지적인 예방, 사회적인 예방방법이 있다. 또 확인은 청력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 나이에 맞는 적절한 청력을 가지고 있는지, 학생으로서, 직장인으로서 또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적절한 청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재활은 청력회복이 어려울 때 이에 대한 보청기 착용, FM보청기, 언어치료, 이식형 보청기, 인공와우 이식 등 다양한 개인적인 적용방법을 이용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청력관리는 생애 전주기를 걸쳐 이뤄져야 한다. 그리고 각 주기에 맞는 확인, 예방, 재활 방법이 적용돼야 하다.


박 정책이사는 "청각은 사회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분열과 소외, 오해와 불신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국가적으로 엄청난 비용이 필요한 문제"라며 "청각의 관리는 개인이 조심해서만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국가의 정책적인 관리체계를 통한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