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황태종 기자】GIST(지스트, 총장 문승현)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결막염 및 각막염 치료를 위한 콘택트렌즈를 개발해 향후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안구질환 치료의 범위가 대폭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13일 GIST에 따르면 권인찬 교수 연구팀은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기능성 단량체를 첨가하는데 성공, 기존 콘택트렌즈에 항염증 약물을 효과적으로 적재해 결막염이나 각막염과 같은 안구 감염증 치료의 길을 열었다.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약물 치료는 점안액을 직접 주입하는 것보다 안전하며,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모든 약물이 콘택트렌즈에 잘 적재되지 않고, 적재되더라도 치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약물이 적재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 약물 분자의 형태나 성질에 따라 적재여부가 결정되므로 현재 치료용 콘택트렌즈로 응용되는 약물은 매우 한정적이다.
오플로삭신(Ofloxacin)과 네오마이신(Neomycin)은 각막염 및 결막염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항생제이나 일반 콘택트렌즈에 거의 적재되지 않아 콘택트렌즈를 통한 약물전달 연구에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연구팀은 콘택트렌즈에 기능성 단량체를 첨가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오플로삭신과 네오마이신의 적재량을 안약의 1회 투여량에 달하는 수준까지 올리는데 성공했다.
권인찬 교수는 "이 연구는 콘택트렌즈에 적재되지 않았던 약물들을 치료용 콘택트렌즈에 성공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광범위한 사용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향후 다양한 안구질환 치료용 약물들, 특히 양전하를 갖는 약물들에 널리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교신저자)가 주도하고, 이다솜 연구원(제1저자)과 이노욱 연구원(제1저자)이 수행했으며, 바이오재료 분야 상위 학술지인 'Biomaterials Science'에 게재됐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