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500대기업, 3년간 빅데이터·AI 등 4차산업 스타트업에 1.6조 투자

김용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1.21 08:39

수정 2018.11.21 08:52

네이버 51곳 '최다'·현대차·SK·SK텔레콤도 10곳↑…투자액은 ㈜SK>네이버>현대차


/사진=CEO스코어
/사진=CEO스코어
국내 500대 기업이 2015년 이후 3년여 간 4차산업 관련 스타트업 210곳에 총 1조60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네이버가 총 51곳으로 투자대상 기업 수가 가장 많았고, 현대자동차와 SK텔레콤, ㈜SK 등도 10곳 이상에 투자했다.

투자 분야는 '빅데이터' 전문 스타트업이 88곳으로 가장 많았고, 인공지능(AI) 66곳, 사물인터넷(IoT) 21곳, 클라우드 2곳 등의 순이었으며, '핀테크', '에너지신사업', '증강(AR)·가상(VR)현실' 등을 포함한 기타 분야도 33곳이나 됐다.

21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매출액 기준 국내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하는 245개사(건설, 금융업종 제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15년 1월 이후 올해 9월말까지 4차 산업혁명 관련 스타트업에 출자한 곳은 53곳으로 집계됐다.

53개사가 투자한 4차 산업혁명 관련 스타트업 기업은 총 210곳, 금액은 1조594억 원이었다. 이번 조사는 인수합병(M&A)을 비롯해 경영참여 목적의 투자를 제외한 단순투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해외법인을 통한 투자는 관련 내역이 공시되지 않아 이번 조사에서 제외했다.


지난 3년여 간 4차산업혁명 관련 스타트업에 가장 많이 투자한 기업은 네이버였다. 네이버는 총 51개 사에 투자했으며, 이 중 인공지능 관련이 24곳, 빅데이터 16곳, 사물인터넷 6곳, 기타 5곳이었다. 다음으로 현대차(20곳), SK텔레콤(13곳), SK㈜(10곳) 등이 10곳 이상에 투자했으며, 삼성전자(9곳), GS홈쇼핑(8곳), LG전자·유항양행(각 7곳), LG화학·휴맥스(각 6곳), NHN엔터테인먼트·카카오(5곳) 등의 순이었다.

투자액은 SK㈜가 2419억원으로 가장 많고, 네이버(1688억원), 현대차(1128억원)도 1000억원을 넘었다. 이어 한미약품(577억원), SK텔레콤(574억원), 유한양행(454억원), 예스코홀딩스(371억원), OCI(356억원), GS리테일(338억원), 삼성전자(317억원) 등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재계1위 삼성전자는 9개 스타트업에 317억 원을 투자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CEO스코어는 그 이유에 대해 삼성전자가 경영권 인수를 포함한 M&A나 미국 실리콘밸리 법인을 통한 스타트업 투자에 주력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지분투자를 받은 기업 중에는 싱가포르에 있는 카셰일링(차량 호출) 업체 '그랩'과 국내 카셰어링(차량 공유) 업체 '쏘카'에 대한 투자 규모가 가장 컸다. 그랩은 전 세계 차량 공유 시장에서 중국의 디디, 미국 우버에 이은 3위 업체로, 현대자동차와 SK가 장부가액 기준 1088억원을 투자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11월7일 그랩에 2억5000만달러(약 2840억원)를 추가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어 쏘카에 SK가 918억 원을 투자했고, 물류 스타트업인 '메쉬코리아'에 네이버, SK네트웍스, 현대차, 휴맥스 등이 809억원을 투자했다.
미국의 카셰어링 서비스 업체 'Turo'에는 SK가 397억원을 투자했다.

삼성전자가 투자한 9곳은 인공지능 4곳, 빅데이터 3곳, 사물인터넷 및 클라우드 각 1곳이며, 이중 8곳이 해외기업이었다.
국내 투자처는 인공지능 연구개발 등 전기·전자공학 연구개발업체인 '지능정보기술연구원'으로, 삼성전자뿐 아니라 LG전자, SK텔레콤, KT, 네이버 등도 함께 투자했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