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 뜻해

4일 새해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을 맞아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의 뜻에 대해 네티즌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입춘은 한 해를 열고 봄을 알리는 절기이기 때문에 다양한 세시풍속을 통해 이를 기념한다. 다만 최근에는 복잡한 의례는 생략하고 ‘입춘문(立春文)’만을 붙이는 추세다.
입춘문의 대표격은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다. 이는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는 의미다.
이 중 주목할 점은 입춘대길의 ‘입’은 ‘들 입(入)’자가 아닌 ‘설 립(立)’자를 쓴다는 것이다. 이는 이동의 의미가 담긴 ‘들 입(入)’이 아닌 준비된 것을 시작한다는 의미의 ‘설 립(立)’을 쓰는 것으로 풀이된다.
입춘문으로 쓰이는 문구로는 ‘입춘대길 건양다경’ 외에도 ‘국태민안 가급인족’, ‘기주오복 화봉삼축’ 등의 대구 등이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올해 24절기 내용에 따르면 2019년의 입춘시는 4일 낮 12시14분이다. 이 시간에 맞춰 대문에 사람 인(人)자 모양으로 입춘문을 붙이는 것이 좋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입춘
hoxin@fnnews.com 정호진 인턴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