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행정·지자체

靑·여당 ‘한국당 패싱’ 움직임..한국당發 ‘국회 정상화’ 난관

김규태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6.05 17:45

수정 2019.06.05 17:45

나경원 주도 교섭단체 협상 교착..황교안 회동제안도 이견 차 거절
10대 민생입법 통과 촉구 결의대회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등 자영업계 단체 참석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10대 민생입법 통과 촉구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10대 민생입법 통과 촉구 결의대회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등 자영업계 단체 참석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10대 민생입법 통과 촉구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자유한국당이 국회 정상화를 위해 추진해 온 '투트랙 전략'이 난관에 부딪혔다. 나경원 원내대표가 주도한 여야 3당 교섭단체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데다, 황교안 대표마저 문재인 대통령과의 여야 회담을 제안했지만 이견 차로 거절당하면서다.

더욱이 국회 파행이 지속되면서 청와대와 여당에선 이번 주 국회 정상화를 강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한국당 패싱' 가능성이 관측된다. 이 때문에 민생법안 및 추가경정예산 심사 처리를 해야할 6월 국회 전망도 안갯속이란 분석이 나온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황 대표는 전날 제안한 일대일 회담 및 여야 3당 회담 방안에 대해 문 대통령이 거부하자 비판을 쏟아냈다. 앞서 문 대통령은 황 대표가 지난달부터 3차례에 걸쳐 요구한 일대일 회담과 관련, 여야 5당 회담을 함께하는 조건으로 수용했지만 황 대표가 여야 5당 대신 3당 회담으로 역제안을 하면서 논의가 결렬됐다.

황 대표는 당 회의에서 "지금 국회가 문을 열지 못하는 이유는 청와대와 여당의 불법적인 패스트트랙 추진 때문"이라며 "대통령이 적반하장으로 우리 당에 책임을 돌리는 게 옳은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 대통령이 국회 정상화를 바란다면 패스트트랙 추진을 사과하고 철회하는 것이 우선"이라고했다. 황 대표 입장에선 지난 1달 동안 전국 장외 투쟁을 마친 후 대통령과의 담판 회동을 통해 국회 정상화 이슈를 주도하려 했지만 사실상 무산되면서 난처한 상황에 놓였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선거법 등 패스트트랙 관련 법안에 대해 민주당은 '합의처리를 위해 노력한다'고, 한국당은 '합의 처리해야 한다'고 팽팽히 맞서면서 협상이 진전되지 않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한국당을 배제한 채 국회를 정상화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됐다는 관측이다.

오는 7일 단독 국회를 소집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도 "(단독 소집은) 말 그대로 최후의 선택지"라며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integrity@fnnews.com 김규태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