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실무 대표단이 20일, 미국의 '대이란 제재 예외 조치' 종료에 따른 후속 조치 필요 사항에 대해 논의했다.© 외교부 젱공=뉴스1 이란산 원유 수입, 양국 교역 결제를 위한 원화 계좌 운용 중단
(서울=뉴스1) 최종일 기자 = 지난달 2일 미국의 '대이란 제재 예외 조치'가 연장없이 종료된 가운데 한미 실무대표단이 후속 조치 필요사항에 대해 논의했다고 외교부가 21일 밝혔다.
홍진욱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을 수석대표로 하는 정부 관계부처 합동 실무대표단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데이비드 페이먼 미 국무부 금융위협대응·제재 부차관보 및 브래드 스미스 재무부 외국자산통제국 (OFAC) 부국장과 한미 간 관계부처 합동 협의를 했다.
한국 등 8개 국가는 지난해 11월 5일 미국으로부터 180일 동안 미국의 대이란 제재 예외국 지위를 인정받았다. 하지만 예외 조치 종료 결정에 따라 Δ이란산 원유 (컨덴세이트) 수입 및 Δ한-이란 간 교역 결제를 위한 원화 계좌 운용은 중단된 상황이다.
이날 홍진욱 국장은 예외국 지위가 종료된 이래 우리 정부는 대이란 진출 및 수출 기업의 고통 경감을 위해 노력해 왔다고 설명하고, 앞으로 원화 계좌를 활용한 인도적 품목의 대이란 수출 및 기타 우리 기업의 애로 사항 해결을 위한 미측의 계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대해 페이먼 부차관보는 한국이 동맹국으로서 미국의 대중동·대이란 정책에 협력해온데 대해 사의를 표하였으며, 스미스 부국장은 그간 한국 정부가 제공한 자료 등을 바탕으로 대이란 진출 및 수출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에 대해 면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양측은 필요한 경우 외교경로 및 대면협의 등을 통해 상호 관심사항을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관계부처 및 기업 간의 긴밀한 소통과 협조를 토대로 우리 기업의 애로 사항 해결을 위해 한-미 간 협의 등 필요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