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는 집에서 죽음 맞고 싶지만 76%가 의료기관서 임종
죽음 준비 사후 과정에 초점…치료비도 1개월 전에 상당수 지출
(서울=뉴스1) 박상휘 기자 = 생애 말기 환자 10명 중 6명은 집에서 죽음을 맞이하고 싶지만 실제 76.3%는 의료기관에서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생애 말기 환자가 죽음을 맞이하고 싶은 장소는 집이 60.2%로 가장 많았으나 지난해 실제 사망 장소는 의료기관이 76.2%를 차지했다.
고령층의 죽음준비는 사후과정에 집중돼 있어 생애말기에 대한 대비는 부족했다. 죽음 준비 중 묘지 준비가 25%, 상조회 14%, 수의 8%, 유서작성은 0.5%였고 죽음 준비교육은 0.4%에 불과했다.
의료기관에서 임종하는 경우가 높은 이유는 가정에서 적절한 의료서비스 제공 불가(33%), 임종 돌봄에 불편한 주거환경(20%), 돌봄 인력 부재(19%), 임종 돌봄에 대한 불안감(16%) 등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본인의 생애말기를 인지하고 남은 생을 정리할 수 있기를 희망하나, 관련 정보제공이나 실제 임종에 대한 준비는 제한적이었다.
국민 65%는 임종 가능성을 3개월 이전에 알기 원하나 실제 정보제공은 임종 수일 전(62%) 또는 당일(15%)에 이뤄졌다.
아울러 무의미한 의료행위를 억제하고 생애말기 의료비 지출의 합리화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 기준으로 사망 전 1년간 월평균 의료비는 157만원이었지만 사망 전 1개월 월평균 의료비는 403만원으로 급증했다. 월평균 의료비의 2.5배에 달하는 수치다.
전체 암환자를 살펴봐도 사망 전 1년 의료비의 50%를 사망 전 3개월 동안 지출했다.
환자들의 의료 이용도 사망일에 가까울수록 급격히 증가했다. 2017년 사망환자의 의료이용을 살펴보면 CT·MRI 이용은 사망 6개월 전 18.0%에서 1개월 전 38.7%로 증가했다. 중환자실 이용도 2.3%에서 20.0%로 급격히 높아졌고 인공호흡기 착용도 0.7%에서 16.5%, 심폐소생술은 0.1%에서 14.8%로 증가했다.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 2015년 7월 입원형 호스피스로 시작해 2016년부터 가정형, 자문형 등 시범사업 추진으로 서비스 유형이 늘어나는 추세다.
호스피스 병상은 지난 2008년 282병상에서 지난해 말 1358병상으로 늘었다. 암 사망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률도 2008년 7.3%에서 2017년 22%로 약 3배 증가했고, 우리나라 임종의 질(완화의료) 순위도 2010년 40개국 중 32위에서 2015년 80개국 중 18위로 높아졌다.
다만, 정부는 여전히 호스피스 서비스의 접근성에 제한이 많고 연명의료 결정에서도 자기결정 존중이 미흡하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7년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조사에서 82%가 호스피스를 알고 있었지만 71.3%는 임종 직전에 가는 곳이라 인식했고 완화의료는 72%가 몰랐다.
이에 정부는 '제1차 호스피스·연명의료 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하고 입원형 중심인 호스피스 서비스를 전문팀이 직접 가정에서 서비스하는 가정형, 자문형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연명의료에 대한 자기결정을 강화하기 위해 의료기관윤리위원회 설치를 확대하고 연명의료 상담과 계획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