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꽉 막힌 한·일 관계, 재계에 윤활유 역할 기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6.27 17:28

수정 2019.06.27 17:28

한·일 관계가 악화일로를 치달으면서 경제계의 위기감도 고조되고 있다. 정부 간 감정적 대치로 인한 불똥이 튈까봐서다.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26일 "양국 경제인들과 기업들이 관계 회복에 기여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서울 세종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업에서 본 한·일 관계 토론회'에서였다. 참석한 한국 주재 일본기업인들도 그의 제언에 공감했다. 양측 재계가 그간 쌓아온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꽉 막힌 한·일 관계의 숨통을 트는 데 크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지금 한·일은 '외교적 파경'에 다가선 형국이다. 지난해 우리 정부의 위안부재단 해산선언과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판결에다 올해 일본 초계기 위협사건 등으로 냉기류가 흐르면서다.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의 회담 불발이 그 징표다. 각국 정상 간 양자회담이 이어지는데 한·일 두 정상은 행사 중 소매를 끌어당겨 복도에서 갖는 약식 회담조차 어려울 정도라니 말이다. 주최국인 일본의 협량도 문제이지만, 감정의 골이 그만큼 깊다는 방증이다.

아베 정부는 징용판결 후속조치로 한국 내 일본기업 자산을 현금화할 시 보복조치를 이미 공언했었다. 이에 최근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우리도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이런 '치킨게임'이 계속되면 양측이 '공동패자'가 될 수밖에 없다. 일본도 손해이겠지만 작금의 한·일 간 분업구조에서 한국 기업들이 더 큰 피해를 볼 개연성이 농후하다.


과거에도 한·일 당국 간 갈등 시 박태준 전 포스코 회장 등 지일파 기업인들의 역할이 컸다. 현안에 대해 당장 톱다운 방식의 외교적 타협이 어렵다면 민간교류를 활성화하면서 파국으로 치닫지 않도록 갈등을 전략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손 경총 회장의 이니셔티브가 그래서 반갑다. 오는 9월 1일 '한일축제한마당' 행사에 양국 기업인을 대거 초청하겠다는 구상이 꼬인 한·일 관계를 푸는 실마리가 되길 바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