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2019 국정감사] "ESS 화재 절반 이상 LG화학 특정 배터리".."정부 애매한 발표로 혼란"

정상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0.07 10:35

수정 2019.10.07 10:35

이훈 의원측 국정감사서 문제 제기..LG화학 中공장 특정시기 제품 하자 확인..자체 리콜 요청 
"정부 애매한 조사 발표가 문제 키워..LG화학 등 제조사 사고 책임 알 수 없다며 보상·책임에 소홀"
지난 6월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이 정부세종청사에서 ESS 화재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관리대책을 발표하는 모습. 뉴스1
지난 6월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이 정부세종청사에서 ESS 화재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관리대책을 발표하는 모습. 뉴스1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수십차례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원인에 대한 민관합동 조사와 후속 조치에도 최근 동일한 화재사고가 이어지는 가운데 LG화학이 특정 시기에 생산한 배터리에 문제가 있었으나 이를 은폐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훈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배터리 사고의 원인과 정부 조사발표에 대한 추적 조사 결과, LG화학의 배터리 화재사고 14건 모두 특정시기, 특정 공장에서 만들어진 제품임을 확인했다. LG화학 배터리 화재 14건은 전체 ESS 화재 26건의 54%를 차지한다.

이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문제가 된 배터리는 2017년 하반기에 LG화학 중국 남경공장에서 생산된 초기 물량이다. 이 의원 측은 "만약 열악한 설치환경과 배터리시스템의 문제가 아닌 전력변환장치(PCS) 등의 문제였다면 2018년 이후 제품에는 왜 단 한 번의 화재도 일어나지 않았는지 합리적인 의심이 가능하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LG화학의 배터리 제품에 확실히 문제가 있다고 말해도 무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를 반증하는 사실 하나는 삼성SDI의 경우 총 9건의 화재가 일어났으나 제조일자가 2014~2018년으로 다양했다. 그러나 LG화학은 2017년 2~4분기 중국공장 초기모델에서만 화재가 나 그 시기 생산된 배터리 제품 불량에 무게가 실린다.

또 지난 8월 30일 발생한 충남 예산의 태양광발전소 ESS배터리 화재는 셀을 새로 교체했음에도 발생했다. 이 발전소의 ESS시스템은 LG화학이 배터리셀을 점검해 문제가 될 만한 셀(일명 약한 셀)들을 찾아 새 배터리로 교체했다. 전력변환장치인 PCS도 점검을 마쳤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했다.

정부의 화재사고 후속조치에도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

정부 민관합동 조사단은 ESS배터리 시설의 화재는 배터리 및 배터리보호시스템의 결함에서 비롯됐으나, 정부는 △운용환경관리 미흡 △ESS 통합관리 체계부재 등 여러 원인이 있었다고 발표했다.

이 의원측은 "정부의 발표를 다시 복기해보면 '배터리시스템 결함'과 '전기충격에 대한 보호체계 미흡'은 삼성과 LG화학이 만든 배터리와 배터리보호 시스템에 결함이 있다는 말과도 같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LG화학 배터리 화재의 경우, 배터리보호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지난해 9월 충북 영동, 12월 충북 제천 ESS 화재사고는 발화지점이 배터리(모듈)이었음에도 산업통상자원부는 '충북 영동' 화재사고에 대해 '파악불가'라고 제출했다. 또 민관합동조사위가 조사해 배터리 랙 64번에서 최초발화가 시작됐다고 지목한 울산 대성산업가스 ESS 화재건도 국회 제출 자료에는 '파악불가'라고 보고했다. 국가 과학수사기관이 지목한 발화지점 마저 은폐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국과수 최초 발화지점 조사 결과 및 민관합동조사위의 결과는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및 배터리 보호시스템에 집중돼 있었음이 확인된다.

지난 3월 민관합동조사위 11차 회의에서는 △LG화학의 중국 남경 배터리 제조공장을 조사해 초기 생산품의 불량률이 높았다는 점 △배터리 양극판 모서리 불일치 △음극판 모서리 접힘·눌림·들림 △배터리 노칭(notching, 롤 형태의 극판을 단판극판 형태로 만드는 것) 불량을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4월, 5월 열린 다섯차례 회의에서도 LG화학의 △배터리(Align) 불량 △내성실험 결과 화재 의심현상 재현 △배터리 셀 지락 결함 △배터리 랙 모듈 옆면 천공 등 확인 △배터리 모듈 내 셀 단락시험 결과 낮은 저항에 따른 큰 전류가 화재 야기 등을 확인했다.

이 의원 측은 정부의 애매한 조사발표를 전후로 LG화학 등 ESS배터리 제조 대기업들은 사고 책임을 알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면서 화재피해에 대한 보상과 책임을 소홀히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의원 측은 LG화학에게 2017년에 생산된 ESS배터리에 대해 자발적 리콜을 요청했다. 하지만 LG는 관련 입장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LG화학은 리콜을 진행할 경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 판매된 물량 등 약 1500억원의 추가비용과 신인도 추락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LG화학은 12월까지 자신들이 실험을 진행해 원인분석을 더 꼼꼼히 하겠다는 입장만 밝힌 상태다.

또 민관 합동조사위원회에서도 LG화학 배터리의 문제가 있으니 정부 차원에서 리콜을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는 채택되지도 조사위 활동결과 발표시 공개되지도 않았다. 이 의원은 "정부의 합동조사결과 발표는 배터리 결함으로 집중돼 지목된 결과를 올바르게 전달하지 않았다.
산업부의 어정쩡한 사고조사 발표가 일을 키우는 도화선으로 작동됐다"고 비판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