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화일반

일본산 소재 사용된 숭례문 단청·일제가 왜곡한 종묘제례악 지적

뉴시스

입력 2019.10.07 16:09

수정 2019.10.07 16:09

【서울=뉴시스】고승민 기자 =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재청 등 국정감사에서 정재숙 문화재청장이 민주당 정세균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9.10.07.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고승민 기자 =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재청 등 국정감사에서 정재숙 문화재청장이 민주당 정세균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9.10.07.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가지정문화재에 남은 일본 잔재를 없애라는 문화재청 사업 부진 문제가 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지적됐다.

대안신당 최경환 의원은 7일 숭례문 단청이 일본산 소재를 뒤집어 쓴 채 국보1호의 위상과 자존감을 회복하지 못하고 7년째 방치되고 있지만 문화재청은 2013년에 발생한 박락 사건 재연이 두려워 복원사업을 미루고만 있다고 지적하면서 조속한 복원사업을 촉구했다.

최 의원 "7년 동안 일본산 소재를 문화재 안정화 핑계로 그대로 놔두고 있어 숭례문 복원을 하겠다는 건지 의심스럽다"고 했다.

이어 "합성 페인트를 사용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전통 안료 개발에 지난 6년간 예산 46억원이 들였는데 아직 시간이 필요하냐"고 반문했다.


이에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워낙 중대한 사안이라 다시는 아픔이 일어나지 않도록 신중하게 복원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지 미루는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이어 "현재 서원과 사찰에는 전통 안료를 사용하고 있다"라며 "2022년까지 검증이 끝나면 단청 인력을 증원하고 이른 시일안에 안료를 국산화하겠다"고 답했다.

2008년 방화로 소실된 숭례문은 이명박, 박근혜 정권에서 5년3개월 동안 총 260억여원의 사업비를 지출하며 복구됐다. 전통방식의 복원이란 홍보와 달리 일본산 소재가 사용됐다. 미숙한 시공기술과 허술한 감독으로 5개월 만에 단청이 벗겨지고 떨어지는 박락 현상을 초래했다.

최 의원은 또 일본 천황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변질된 채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된 종묘제례악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문화재청은 주무기관으로서 지금이라도 원상복원위원회를 구성해서 종묘제례악의 변질 여부와 원형복원에 대한 자료수집, 조사, 연구, 시연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정 청장은 "종묘제례악 왜곡 논란과 관련해 2003년부터 2차 학술 대회를 열고 고증해서 시연했다"라며 "이에 대해 무형문화재 위원들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조사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일제는 '종묘제례악’의 음악과 무용의 명칭도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보태화지무(保太和之舞)'로 바꿔 일본의 연호 소화(昭和)로 바꿨다.'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를 향만년지무(享萬年之舞)'로 바꿔 소화(昭和)시대가 만년을 누리도록 하는 의미로 변질시켰다.


종묘제례악의 복식(服飾), 무구(舞具), 악기 편성, 음악 등에 대해 일제강점기 때 왜곡됐다는 주장과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화해 왔다는 주장이 지금까지 논쟁이 되고 있다.

suejeeq@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