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창원 기업 44% "내년 근로시간 단축 대상 확대 무대책"

뉴시스

입력 2019.10.07 16:34

수정 2019.10.07 16:34

창원상의, 121개사 영향력 설문조사 발표 63.2% "근로시간 단축으로 임금 감소 예상" 2·3교대 기업 51.3% "연중 계속 초과 근무"
【창원=뉴시스】경남 창원상공회의소 전경.2019.08.21.(사진=뉴시스 자료사진) photo@newsis.com
【창원=뉴시스】경남 창원상공회의소 전경.2019.08.21.(사진=뉴시스 자료사진) photo@newsis.com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 = 내년 1월부터 주 52시간 근무제 적용 대상 사업장이 300인 이상에서 50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되지만, 경남 창원지역 기업의 44.4%는 아직 대응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경남 창원상공회의소(회장 한철수)에 따르면 내년 1월 1일부터 근로시간 단축 적용 대상 창원지역 50인 이상 기업체는 809개사(6만3865명)이며, 기존 시행 중인 300인 이상 106개 사업장(6만1935명)을 합하면 총 915개사(12만5800명)가 해당한다.

이에 창원상의는 근로시간 단축 적용 사업장 확대에 따른 경영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121개사 유효 응답) 결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초과근무 발생 형태와 이유

응답 기업들은 노동자의 초과근무 발생 형태를 묻는 말에 '특별한 상황으로 업무량이 증가했을 때'라고 답변한 업체가 52.3%로 가장 많았고, '연중 계속 초과근무' 29.9%, '매월 특정 시기에만 초과근무' 9.3%, '특정 계절 또는 월에만 초과근무' 4.7% 등 순으로 답했다.

근무 형태별로는 주간근무 사업장의 경우 '특별한 상황으로 업무량이 증가했을 때'라고 답한 비중이 58.8%로 가장 많았고, 2·3교대 사업장은 '연중 계속 초과근무'가 51.3%로 가장 많았다.

초과근무 발생 이유로는 42.2%가 '납품처의 납기일 준수'를 꼽았다.
다음으로 '업종 특성에 따라' 34.7%, '노동자가 초과근무를 원해서' 13.6% 등 순으로 답했다.

◇노동자 임금 변화 등 업체 영향은

노동자의 임금에도 변화가 클 것으로 보인다.

응답 업체의 32.1%가 기존 노동자 임금의 '10% 이상 줄(감소) 것', 31.1%는 '10% 미만 줄 것'으로 답해 총 63.2%가 임금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연중 초과근무가 발생한다고 답한 비중이 높은 2·3교대 사업장의 경우 87.2%가 임금이 감소할 것으로 답해, 49.3% 비중을 보인 주간근무 사업장보다 노동자 임금 감소를 예상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사업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는 29.3%가 '총임금 하락에 따른 노동자 사기 저하'를 꼽았고, 다음으로 '납품 물량 납기일 준수 곤란' 28.7%, '인건비 상승으로 경쟁력 저하' 23.0% 순으로 답했다.

◇업체의 대응 방안과 제도 개선 과제

응답 업체의 47.2%는 ‘대응 방안을 마련해 검토 중’이며, 6.5%는 ‘이미 시행 중’이라고 응답했지만 33.3%는 '대응 방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11.1%는 '마련할 계획조차 세우지 못했다'고 답했다.

대응 방안을 준비 중이라는 업체의 다수는 '현행 탄력 근무제의 확대(18.4%)', '외주공정 확대(18.4%)'를 통해 근로시간 단축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신규직원 채용(17.5%)', '자동화시스템 도입(17.5%)' 순이었다.

근로시간 단축 제도의 개선 사항으로는 '업종별 차등 적용(28.0%)'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도 마련 병행' 26.8%, '탄력근로제 확대(1년 이상) 실시' 21.3%, '근로자별 차등 적용' 12.8%, '공정거래 확대를 위한 제도 마련' 9.1% 순으로 응답했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보듯이 상당수의 사업장이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물리적으로 근로시간을 단축했다면, 이제는 생산성과 근로의 질을 함께 고려하는 정책도 마련되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또 "근로시간 단축으로 야기될 생산량 감소를 생산성 향상으로 상쇄함으로써 기업 생산성을 합리화하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hjm@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