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정치

日교육수장 '입' 때문에 대입 민간영어시험 제도 도입 '보류'

조은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1.01 17:40

수정 2019.11.01 17:40

아베 정부, 개각 두 달만에 각료 잇단 사임에 설화 
이번엔 문부과학상 "신분에 맞게 시험 쳐라" 
대학입시 영어과목 민간시험제도 도입 무산 
지난 9월 11일 개각 당일 총리관저로 들어서고 있는 하기우다 고이치 문부과학상. 로이터 뉴스1
지난 9월 11일 개각 당일 총리관저로 들어서고 있는 하기우다 고이치 문부과학상. 로이터 뉴스1

【도쿄=조은효 특파원】 내년도 대학입시부터 영어과목 시험을 민간 영어시험으로 대체하려던 일본 정부의 계획이 1일 보류됐다.

가뜩이나 제도 시행에 대한 현장의 비판적 목소리가 컸던 상황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최측근인 하기우다 고이치 문부과학상이 "신분에 맞게 시험을 치면 된다"는 취지의 부적절한 발언으로, 일본 사회에 공분을 샀기 때문. 최근 1주일 새 선거법 위반 혐의로 두 명의 각료(법무상·경제산업상)가 사임·경질된데 이어 이른바 '일본판 나향욱 사건'으로 일컬어지는 이번 사건이 더해지면서 아베 정권의 국정운영에 타격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교육정책 수장인 하기우다 문부과학상은 지난 24일 위성방송 'BS후지'에 출연, "부유한 가정의 아이가 여러 번 시험을 쳐서 워밍업을 하는 식의 일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신분에 맞게 두 번을 제대로 골라서 노력하면 (된다)"고 발언, 기회의 불평등을 당연시 여기는 듯한 태도를 내비쳤다. 방송 직후 비판이 쇄도하자, 발언 철회와 사과를 표명했으나 성난 민심을 달래지 못한 채 결국 시험제도 보류라는 초유의 상황으로 이어진 것이다.

사실, 대입 영어과목의 민간영어시험제도는 시험장이 도시에 집중돼 있고 응시료가 비싸서 거주 지역이나 학생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기회의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전국고등학교장 협의회가 연기를 요청하는 등 반발이 만만치 않았다.


아베 총리로선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실시한 개각이 각료들의 잇단 비위와 설화로 되레 장기집권의 피로감만 노출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사설을 통해 "지적된 의혹의 철저한 규명이 급선무"라며 "도마뱀 꼬리 자르기식과 같은 대응으로는 정권과 자민당에 대한 불신만 증가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fnSurvey